
인천의 학대 피해 장애아동들이 일상 회복 지원을 통해 사회에 발을 내디뎠다.
인천시사회서비스원 소속 인천시피해장애아동쉼터는 개소 1년간 학대 피해 장애아동 10명을 지원했다고 11일 밝혔다.
지난해 12월 문을 연 쉼터는 학대 피해장애아동 임시 보호시설이다. 전국에서 4번째로 들어섰다. 정원은 남·여아 각 4명씩이다.
지난 1년간 쉼터 이용 아동은 모두 10명이다. 이 중 2명은 원가정에 복귀했고, 장애인 거주 시설과 위탁가정에서 1명씩 지내고 있다.
현재 초등학생~고등학생 6명이 쉼터에서 생활 중이다.
A군(17)은 지난 7월 눈 주변 뼈가 주저앉은 채로 쉼터에 들어왔다. 인천신세계안과가 도움의 손길을 내민 덕분에 A군은 무사히 치료를 받았다. 추가 검사를 통해 시력이 급격히 나빠지는 것도 막았다. 지금은 시력에 맞는 안경 덕분에 일상에 지장이 없다.
가장 먼저 쉼터에 입소한 B양(8)은 처음엔 의사소통이 어렵고 숟가락질을 못 할 정도였다. 아동심리발달센터 도움을 받아 대화할 수 있도록 훈련했고, 생활지도원은 숟가락질·기다리기 등을 가르쳤다. 병원 정기 검진으로 건강 관리도 꾸준히 하고 있다.
C군(10)은 방임으로 인한 학대 신고로 올해 초 쉼터에 들어왔다. 처음엔 배변 훈련 등 일상 훈련이 전혀 안 된 상태였다. 입소 2~3달 만에 기저귀를 뗐고, 쉼터에서 다른 사람과 지내는 방법을 터득했다. 최근 위탁가정에서 생활을 시작했다.
쉼터는 아이들이 나이에 맞는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입소하면 우선 지역 교육청과 연계해 입학할 수 있는 학교를 찾는다. 쉼터에서 먼 곳이면 생활지도원이 등하교를 직접 맡는다.
여기에 심리 치료와 정기 진료도 병행한다. 안정적인 지원이 가능하도록 쉼터는 아동심리발달센터·치과·안과·지역 의원 4곳과 협약을 맺은 바 있다.
김윤경 인천시피해장애아동쉼터 센터장은 “아이들이 쉼터에서 지내는 시간 몸과 마음을 건강하게 만들어 돌아가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최선을 다해 지원하고 있다”며 “함께해준 지역사회 덕분에 아이들이 잘 자라고 있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김민지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