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족돌봄청년을 위한 통합적인 지원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인천시사회복지협의회는 12일 옹진군청 효심관에서 ‘2024년 제2차 인천복지 정책 토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인천사회복지연구단이 ‘인천 가족돌봄청년의 돌봄 경험 및 지원방안 탐색 연구’, ‘인천시 사회복지시설 비정규직 종사자 실태조사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사회복지 현장의 의견수렴과 토론을 위해 마련됐다.
인천 가족돌봄청년의 돌봄 경험 및 지원 방안 탐색 연구는 이충권 인하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가 책임연구원을 맡았다.
이날 발제를 통해 인천 가족돌봄청년의 돌봄 현황과 삶의 질, 복지 욕구를 파악해 가족돌봄청년을 위한 지원 방안을 제시했다.
가족돌봄청년은 새로운 복지 사각지대로 대두되고 있다.
현재 지자체별로 가족돌봄청년 지원 조례는 마련돼 있으나, 중앙 차원의 법률은 없다. 지역별로 나이·소득 기준이 다르고, 지원내용이 일관되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전국적 법적 근거 마련과 동시에 나이 기준 완화·지원 대상 확대 등 유연한 정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이충권 교수는 발제에서 “가족돌봄청년은 사회복지 제도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어 개인의 대처로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법적 기반 마련을 기틀로 지역별 지원의 차별을 줄이고, 가족돌봄청년 지원 특별법 제정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인천시 사회복지시설 비정규직 종사자 실태조사 연구’는 정선영 인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가 책임연구원을 맡았다.
인천시 비정규직 종사자의 인터뷰 및 인천시 사회복지시설의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지원 방안을 제시했다.
정선영 교수는 “인천시 비정규직 종사자 처우개선을 위해 차별 시정 및 생활권 보장 정책이 구현돼야 한다”며 “사회복지시설의 비정규직 종사자 처우개선 정책을 의제화해야 한다”고 전했다.
이어진 토론은 권정호 인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가 좌장을 맡았다.
장연진 한양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주영신 인천시가족센터협회 회장, 최정호 인천여성가족재단 선임연구원, 강유경 서구노인인력개발센터 센터장, 박정아 인천시사회복지사협회 사무처장, 이선정 인천사회서비스원 연구위원이 참여했다.
박선원 인천시사회복지협의회장은 “정책 토론회를 통해 인천에서 가족돌봄청년과 사회복지시설 비정규직 종사자에 대한 지원방안이 마련되고, 건강한 인천복지 생태계가 조성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협의회는 앞으로 인천 사회복지 조사연구가 복지 현장에 도움이 되는 복지 정책과 사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김민지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