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12·3 계엄 사태 당시 정부의 계엄 협조를 거부한 배경에 대해 “절차상 위헌이고 부당했다. 군이 와서 구금하거나 봉쇄하더라도 몸으로 저항하려고 했다”고 밝혔다.
경기도는 김 지사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 전 프랑스 대표 매체인 르몽드지와 긴급인터뷰를 진행했다고 15일 밝혔다.
김 지사는 르몽드와 인터뷰에서 12·3 계엄령 당시 행정안전부의 경기도청 폐쇄 명령을 단호히 거부하게 된 이유를 설명했다.
필립 메르메스 르몽드 동북아 특파원은 윤 대통령의 계엄 선포 직후 김 지사가 행안부로부터 받은 청사 폐쇄 명령을 거부했다는 소식을 접하고서 도에 인터뷰를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특파원은 계엄 상황에서 김 지사의 결정을 ‘사실상 항명’으로 보고 그의 리더십에 주목하게 됐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김 지사는 “당시 ‘페이크 뉴스’(가짜뉴스)인 줄 알았다 그런데 행안부에서 사람들이 도청에 출입하지 못하게끔 봉쇄하라고 전화로 요청했다”며 “보고를 받은 뒤 즉시 거부하라고 지시했다”고 했다.
이어 정부의 명령을 거부한 이유에 대해 “12·3 계엄 선포는 절차나 내용이 모두 위헌이며 부당하기 때문에 (정부 명령을) 거부하라는 지시를 내렸다”고 설명했다.
김 지사는 ‘정부로부터 계엄 협조 명령 거부에 대한 압박이 있을 것으로 예상했냐’는 질문에 “그간 계엄사례로 봤을 때 계엄군이 도청을 접수하고 봉쇄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했으나 그럼에도 사무실을 지켜야겠다고 생각했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그래서 간부회의를 바로 소집하고 도청 안으로 들어갔다. 만약 계엄군이 봉쇄에 들어갔다면 구금당했을 상황”이라며 명령 거부에 따른 처벌도 각오했음을 내비쳤다.
김 지사는 ‘계엄군이 도청 봉쇄에 들어갔다면 저항하려고 한 것인가’라는 질문에 “그렇다. 계엄군이 와서 구금하거나 봉쇄하더라도 몸으로 저항할 생각이었다”며 “(다른 시도단체장과 상의한 결과가 아닌) 독단적인 결정”이라고 했다.
그는 “전혀 두렵지 않았다. 가짜뉴스가 아니라는 것을 알고 ‘윤 대통령이 자기 무덤을 자기가 파는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며 “대통령의 계엄 선포가 무위로 돌아갈 것이라 확신했다”고 강조했다.
또 “간부회의에서 비상계엄은 명백한 쿠데타고 위헌이기에 도는 따를 수 없다고 얘기했다. 모든 책임은 내가 지겠다고 했다”고 한 뒤 “도 간부 공무원들은 동요하지 않고 지시사항을 충실히 이행했다”며 공무원들이 자신의 지시에 잘 따라줬다고 했다.
아울러 ‘많은 청년들이 대통령 탄핵집회에 참여한 것에 대한 소회’를 묻는 질문에 “많은 젊은이들이 에너지를 발산하고 있어 미래를 밝게 보고 있다”고 했다.
김 지사는 “젊은 에너지가 대한민국의 오늘을 있게 만든 원동력이자 심볼”이라며 “젊은이들의 에너지가 탄핵 이후 한국이 재도약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 경기신문 = 나규항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