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년 인천시교육청의 정책사업은 ‘소통’과 ‘성장’이 중심이다.
시교육청은 17일과 18일 양일간 유‧초‧중‧고‧특수학교 교(원)장, 교(원)감, 행정실장과 교사를 대상으로 ‘2025년 인천교육 정책설명회’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내년에는 ‘학교 현장 지원’에 역량을 집중할 방침이다.
시교육청은 교육 활동 보호를 위해 교육 활동 보호 소통 협의체를 기존 1회에서 4회로 늘리고, 학교 지원단의 역할을 강화해 학교 현장의 업무 부담을 줄인다.
여기에 교무 학사 업무까지 지원 업무를 확장한다. 교무 학사 업무 지원기동대, 초등 일일형 현장 체험학습지원, 1 수업 2교가 채용 업무 지원, 저 경력 교직원 맞춤형 업무 지원, 특수교육 교육 활동 지원 인력 채용 지원 등이다.
학교 운영 지원에도 팔을 걷었다.
혹서기 학교 전기 요금 지원, 안전 체험관 방문 학교 단체버스 지원, 학교 성공 버스 51대로 확대 운영, 학교 운동부 지도자 대회 출전비 지원 확대 등을 추진한다.
내년에도 도성훈 교육감이 직접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학교 지원방안을 찾아 추경에 반영할 계획이다.
도 교육감은 “학교 현장 지원에 최선을 다하고, 특수교육 여건 개선과 더불어 인천교육 전반의 여건 개선에 힘쓰겠다”며 “내년 한 해 더 많이 소통하며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겠다”고 강조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김민지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