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로봇랜드 조성사업 조감도. ( 사진 = 인천시 제공 )](https://www.kgnews.co.kr/data/photos/20250207/art_17393461031857_de705b.jpg)
지난달 국토교통부로부터 도시첨단산업단지 지정을 받은 인천로봇랜드가 ‘혈세 먹는 하마’라는 오명을 씻을 수 있을까.
관건은 산업용지의 복합용지 변경인데, 이를 위해선 산업통상자원부를 설득하는 게 먼저다.
12일 인천시에 따르면 인천로봇랜드는 다음달 도시첨단산단으로의 기반시설 착공에 들어간다.
오는 2027년 말까지 완료할 예정으로 시는 내년부터 분양을 시작한다.
인천로봇랜드도 수익을 낼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 것이다.
인천로봇랜드에는 지난 2017년 세워진 23층짜리 로봇 타워와 5층짜리 로봇 연구개발센터만 덩그러니 자리하고 있다.
이 가운데 지난해 인천로봇랜드 운영비만 33억 원이었다.
별다른 수익 없이 매년 30억 원 이상의 운영비가 투입됐다.
그러나 내년부터 산단 분양이 이뤄지면 수익 창출에 대한 기대를 걸고 있다.
수도권 내 산업용지 부족 현상과 함께 올해 말 개통 예정인 영종~청라 제3연륙교의 시너지 효과가 날 것이라는 예측에서다.
다만 인천로봇랜드에 도시첨단산단 입히기는 궁극적인 수익전략이 될 수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장기적인 수익 및 사업성을 위해서는 당초 시가 계획한 산업용지 일부의 복합용지 변경이 필수적인 탓이다.
앞서 시는 인천로봇랜드 로봇산업용지 전체 약 21만 7000㎥ 중 5만㎥를 복합용지로 변경해 지식산업센터나 연구소, 오피스텔(기숙사)로 활용해 사업성을 높일 구상을 짰다.
하지만 산업부가 요지부동이다. 당초 계획대로 가야 한다는 것이다.
게다가 시는 지난 2018년 로봇랜드의 테마파크(유원시설) 비율을 45%에서 19.9%로 대폭 줄이는 등 한 차례 사업 조성실행계획을 변경한 바 있다.
그럼에도 시는 뾰족한 수가 없어 산업부에 매달릴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지난해 말에 받은 조성실행계획 변경 승인은 단순히 사업기간 연장에 대한 것이었다”며 “용지 변경에 대한 산업부 협의가 필요한데 산업부가 긍정적이지는 않아 수월하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취지나 방법론적으로 산업부와 조금 생각이 달랐던 것일 뿐 중요한 건 시와 산업부 모두 로봇랜드 사업의 성공을 원하고 있다는 것”이라며 “앞으로 산업부를 더 자주 찾아 가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인천로봇랜드 조성 사업은 지난 2007년 11월 국책사업으로 시작, 인천은 당시 경남 마산시와 함께 정부로부터 로봇산업을 선도할 로봇랜드 조성 지방자치단체로 선정됐다.
[ 경기신문 / 인천 = 유정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