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우건설이 개포우성7차 재건축 사업을 위해 조합원 분담금 부담을 최소화하는 금융전략을 전면에 내세웠다. 겉으로 보기엔 설계나 마감재보다 덜 주목받는 금융조건이지만, 실제로는 정비사업에서 공사비 다음으로 조합의 사업성을 결정짓는 핵심 변수다.
18일 대우건설에 따르면 대우건설은 이번 전략을 통해 조합 필수사업비 약 4000억 원 전액에 대해 CD+0.00%의 금리를 제안했다. 현재 CD금리가 약 2.5%인 점을 감안하면 파격적이다. 여기에 HUG(주택도시보증공사) 보증수수료도 건설사가 부담하겠다고 밝혀 조합의 부담을 한층 더 덜었다.
통상 시공사들은 ‘입주시 100% 분담금 납부’를 제안하면서도, 실제로는 조합이 사업비 충당을 위해 중간에 금융조달을 하게 되고, 이자까지 조합원에게 청구되는 구조다. 대우건설은 이러한 관행과 달리, 조합도 대출을 하지 않고, 이자 부담 없이 입주시 한 번에 분담금을 낼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대우건설은 공사비 지급방식 및 사업비 상환순서를 조합에 가장 유리한 방식인 ‘분양수입금 내 기성불’로 제안했다. 또한 공사비는 다른 사업비 및 이자비용을 먼저 상환한 뒤, 최후순위로 상환하는 파격적인 조건도 내놓았다.
조합은 분양수입 발생시 사업비를 최우선으로 상환한 뒤, 조합 통장에 잔여금액이 있을 경우에만 기성률 한도 내에서 공사비를 지급하게 된다. 이는 조합 입장에서 금융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고, 공사대금 납부 연체에 대한 걱정도 없다. 따라서 분양대금이 들어오면 공사비 먼저 지급해야하는 분양불 제안에 비해 탁월한 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건설업계 가장 큰 이슈 중 하나가 인건비·자재비 등 건설원가 폭등으로 인한 공사비 인상 건이다. 어떤 건설사, 어떤 조합도 해당 이슈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데, 대우건설은 현 상황에서 시공사가 가장 크게 양보할 수 있는 조건인 소비자물가지수와 건설공사비지수 중 상승률이 낮은 값을 적용하겠다는 제안을 했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경쟁사는 두 지수의 평균값 적용을 제안했는데, 최근 5년간 두 지수 중 낮은 값과 평균값의 차이로 비추어보면 약 2.6%포인트의 차이가 발생한다”며 “이를 전체공사비와 공사기간에 대입해보면 이 조건 하나로 수백억원의 금융비용 차이가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대우건설은 물가인상 유예 기간을 18개월까지 제공해 고물가 시대의 조합원의 부담을 최소화하고자 했다. 이와 같이, 대우건설은 조합원들의 가장 큰 고민일 수 있는 분담금 관련, 이와 직결된 가장 큰 비용들을 절감할 수 있는 맞춤형 금융전략을 제시하며 오랜시간 준비된 대우건설의 진심을 전하겠다는 전략이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지금까지 제안한 대우건설의 압도적인 금융·사업 조건은 11년만에 새롭게 선보이는 하이엔드 브랜드 ‘써밋’의 첫 시작이기에 회사의 이익보다는 브랜드 가치 제고를 위한 선제적인 투자이며, 대우건설을 선택하는 조합원님들의 마음에 후회가 없도록 약속한 조건들을 반드시 실천하겠다”라고 전했다.
한편 대우건설은 자사 하이엔드 브랜드 ‘써밋’을 리뉴얼하고 있으며, 그 첫 번째 프로젝트로 개포우성7차를 선정했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