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 학기가 코앞인데, AI 디지털교과서를 두고 갈등이 여전하다. 이대로라면 인천의 학교 현장도 혼란이 불가피해 보인다.
당초 교육부는 올해부터 AI 디지털교과서를 전면 시행하려 했다. 하지만 반발이 나오면서 한 차례 제동이 걸렸다.
지난해 12월 법적지위를 교육자료로 낮추는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는데, 이듬달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이 거부권을 행사했다.
일단 교육부는 1년의 유예기간을 가지기로 했다.
디지털교과서는 초등학교 3·4학년,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영어·수학·정보 과목을 보급할 예정이다.
시범 도입은 학교의 자율적인 선택에 맡겼다.
강경숙(조국혁신당·비례) 의원이 발표한 ‘AI 디지털교과서 선정 현황’에 따르면 전국평균 신청률은 32.4%로 나타났다.
지난 17일 기준 대구가 100%로 가장 많았다. 이어 강원(49%)·충북(45%)·경기(44%)·제주(41%) 순으로 집계됐다. 인천의 경우 전체 학교 534곳 중 20%인 108곳만 선정했다. 전국 17개 시도 중 뒤에서 7번째다.
오락가락 혼란 속, 교육부가 불이익을 준다는 소문까지 돈다.
지난 24일 이정선 광주시교육감은 페이스북을 통해 “AI 디지털교과서는 학교의 자율적인 선택이라고 하더니 교육부가 디지털 튜터와 디지털 선도학교 사업과 연계해 불이익을 주려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디지털 튜터 특별교부세의 50%를, 선도학교당 3000만 원인 예산도 1000만 원으로 삭감하려 한다”며 “세종·인천 등 해당 교육청과 화상회의를 통해서 대응방안을 강구했다”고 했다.
디지털 튜터 사업은 디지털 기반 수업을 도와주는 보조강사를 지원하는 게 뼈대다.
올해 인천시교육청은 15억 원의 예산을 세웠다. 디지털 기기 사용에 학생들이 미숙할 수 있는 초등학교와 특수학교에 중점을 두고 지원할 방침이다.
현재 인천지역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선도학교와 연구학교로 각각 44곳, 5곳이 선정됐다.
시교육청은 디지털교과서 준비기간에는 문제 없단 입장이다. 그동안 교원들을 대상으로 연수와 온라인교육 등을 진행해 안내해왔기 때문이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교육부에서 예산을 조율하고 있는 과정”이라며 “확정된 건 아니지만 일단 대응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회의를 진행한 것”이라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김민지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