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은 27일 제1·2연평해전과 천안함 피격 사건, 연평도 포격 도발로 희생된 서해수호 용사들을 기리기 위한 ‘서해수호기념관 건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안’을 대표발의한다고 밝혔다.
제1연평해전은 1999년, 제2연평해전은 2002년, 천안함 피격 사건은 2010년 3월, 연평도 포격 도발은 2010년 11월에 각각 발생했다.
나 의원은 제10회 서해수호의 날을 하루 앞둔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평택 해군 제2함대사령부 안에 있는 ‘서해수호관’은 일반 국민이 쉽게 찾아갈 수 없다”며 “국민 모두가 방문할 수 있는 ‘서해수호기념관’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우리 아들들이 목숨 바친 서해를 지키는 일에 여야가 따로 있을 수 없다”면서 “서해수호기념관 건립은 단순한 건축 사업이 아닌 국가가 그들의 희생을 기억하고 후대에 계승하기 위한 역사적 책무”라고 말했다.
또 “이미 전쟁기념관이 있는데 왜 서해수호기념관을 별도로 건립해야 하느냐는 생각을 할 수도 있다”며 “전쟁기념관이 이미 종료된 과거의 전쟁을 기억하는 공간이라면 서해수호기념관은 북방한계선(NLL)을 둘러싼 현재 진행 중인 안보 현실과 직결된다”고 지적했다.
특히 “서해에서의 희생은 휴전 이후에도 지속돼 온 대한민국 해양 영토 수호의 산 증거”라며 “서해수호기념관은 단순한 추모 공간을 넘어 현재의 서해 해양 주권 도전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서해 안보 상황에 대한 교육의 장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나 의원은 “북한과 중국, 주변국의 도발과 위협이 계속되는 이 시점에서 서해수호기념관은 우리의 단호한 영토 수호 의지를 대내외에 천명하는 상징적 공간의 역할도 수행할 것”이라고 피력했다.
아울러 “서해수호기념관 설립으로 호국전사들의 희생정신과 역사를 후대에 올바로 계승·전승함으로써 국민의 안보의식과 애국심을 더 높이겠다”고 강조했다.
[ 경기신문 = 김재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