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기자협회 산하 인천경기기자협회와 경기도의회 출입기자단은 27일 ‘언론 통제’ 논란을 빚은 양우식(국힘·비례) 경기도의원에 대해 국민의힘이 묵묵부답으로 일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인천경기기자협회와 도의회 기자단은 이날 공동 성명을 통해 “국민의힘 경기도당은 양우식 도의원 행태에 문제가 있음을 수긍했음에도 정작 당내 기구는 요지부동”이라고 비판했다.
국민의힘 경기도당 운영위원회는 앞서 공식석상에서 반언론적 발언을 해 물의를 빚은 양 도의원을 지난 12일 윤리위원회에 회부했다.
하지만 지난 18일 열린 윤리위원회 회의 이후 양 도의원에 대한 징계 관련 절차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협회와 기자단은 국민의힘 경기도당을 향해 “양 도의원과 관련한 일련의 논란을 당사자의 해명처럼 과격한 표현으로 인한 해프닝인 것 마냥 인식하고 있는 건 아닌지 우려스럽다”고 밝혔다.
이어 “차마 국민의힘의 언론관이 양 도의원의 일그러진 언론관과 일맥상통한다는 의심까진 하고 싶지 않다”면서도 “침묵이 길어진다면 경기·인천 언론인들은 국민의힘 경기도당 역시 소속 도의원의 위헌적 발언과 행태에 동조하는 것으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또 국민의힘 당헌·당규을 언급하며 “당 발전에 지장을 초래하거나 그 행위의 결과로 민심을 이탈케 했을 때 징계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도의회 의장의 개회사, 여야 대표 연설이 언론사 익일 지면 1면에 실리지 않으면 그 언론사 홍보비를 제한하라’는 양 도의원의 발언은 언론의 자유를 보장하고 검열을 금하는 대한민국 헌법과 배치된다”고 강조했다.
협회와 기자단은 양 도의원에 대한 도 안팎의 징계 요구에도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는 도의회를 향해 쓴소리를 하기도 했다.
이들은 “양 도의원의 모든 당직을 박탈하는 수준의 엄정한 대처가 필요하다”며 “이는 양 도의원 징계 요구에 마찬가지로 침묵으로 일관 중인 도의회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고 지적했다.
양 도의원에게는 “진정성 있는 사과와 도의회 운영위원장직 사퇴만이 3년 전 양 도의원을 도민 앞에 추천한 당에 그나마 도리를 다하는 것”이라고 직격했다.
아울러 “행여라도 사태가 흐지부지 끝나기만을 기다리고 있다면 오판”이라며 “인천경기기자협회와 도의회 기자단은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끝까지 대응해 나갈 것을 분명히 강조한다”고 전했다.
[ 경기신문 = 나규항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