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는 6월 3일 실시되는 21대 대선이 지난 2017년 5월 9일 치러진 19대 대선의 데자뷔가 될지 주목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은 조기 대선 체제를 본격화하면서 내란세력과 내란의힘, 범죄피의자와 거대 야당 횡포 프레임 등으로 상대방을 비난하고 나서 최악의 네거티브 대선전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7일 정치권에 따르면 두 번째 현직 대통령 파면으로 실시되는 이번 21대 대선은 8년 전 박근혜 전 대통령이 파면돼 실시된 19대 상황과 유사하다.
당시 보수는 자유한국당(홍준표)·국민의당(안철수)·바른정당(유승민)으로 분열돼 더불어민주당(문재인) 간 3 대 1 대결에서 패했다. 문 당선인(41.08%)과 2위인 홍 후보(24.03%)의 격차는 무려 17.05%포인트다.
현재 국민의힘은 탈당해 새 정당을 창당하는 의원들이 없으나 친윤(친윤석열)과 비윤(비윤석열) 간 갈등이 여전하다.
특히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과 한동훈 전 대표, 오세훈 서울시장, 홍준표 대구시장, 유정복 인천시장, 이철우 경북지사, 안철수·나경원 의원, 유승민 전 의원 등 10여 명이 나설 것으로 예상되는 대선후보 경선에서도 탄반(탄핵 반대)과 탄찬(탄핵 찬성) 간 봉합 여부가 관건으로 여겨진다.
민주당은 각종 여론조사에서 선두를 달리는 이재명 대표와 비명(비이재명)계 3김(김동연·김경수·김부겸), 7일 가장 먼저 출사표를 던진 김두관 전 의원 등이 경선을 펼칠 전망이다.
18대 대선에서 낙선한 문재인 전 대통령이 19대 조기 대선에 재도전해 당선된 것처럼 20대 대선에서 낙선한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21대 조기 대선에 재도전해 당선될지 주목된다.

이런 가운데 양당은 이날 상대 당과 유력 후보를 향해 융단 폭격을 퍼부으며 기선제압에 나섰다.
민주당은 최고위원회의에서 “내란 종식과 내란 극복”(이재명 대표), “내란 동조 정당”(박찬대 원내대표), “국힘 해체와 내란 척결”(김민석 최고위원), “내란의힘”(전현희 최고위원)이라며 국민의힘을 강하게 비판했다.
특히 박 원내대표는 “지난 대선 당시 윤석열의 선거법 위반 사건도 수사하고 기소해야 한다”며 명태균의 불법여론조작 부정선거 의혹, 공천개입 등을 거론했고, 한준호 최고위원은 윤 전 대통령에 대해 “14일에 내란 우두머리 혐의 형사재판의 첫 공판이 예고돼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맞서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비대위 회의에서 “이재명 대표는 위증교사, 선거법 위반, 대장동·백현동 게이트와 같은 개인 비리는 물론 국제법적 리스크가 될 수 있는 대북불법송금 사건까지 8개 사건, 12개 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다”고 비판했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조기 대선은 바로 이재명과 민주당을 심판하는 선거”라고 주장했다.
정치권 관계자는 “19대 대선 때 홍준표 후보의 ‘돼지 발정제’ 논란, 20대 대선 때 이재명 후보의 대장동과 부인의 법카(법인카드) 논란 등 돌출변수가 승부를 좌우할 수 있다”며 “21대 대선은 자칫 20대보다 더욱 심한 비호감 대선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 경기신문 = 김재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