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용산에서 내려간 봉황기가 ‘장미대선’ 이후 어디에 다시 걸릴지 행방에 이목이 쏠린다.
용산 대통령실은 ‘내란’의 상징이 됐고, 청와대는 일반에 공개됐고, 세종 이전은 현실성이 떨어지는 가운데 ‘국토균형발전’과 엮여 대선주자들 간 ‘뜨거운 감자’가 될 것으로 보인다.
7일 경기신문 취재에 따르면 윤 전 대통령은 이르면 이번 주말 용산구 한남동 관저에서 퇴거, 이후 21대 대통령이 이곳에 들어갈지 논쟁이 뜨거워질 전망이다.
차기 유망 대선주자들은 정당을 막론하고 내란의 상징이 돼버린 용산에 들어가길 망설이는 분위기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이날 온라인 소통 플랫폼 ‘청년의꿈’에 관련 질문이 올라오자 “청와대는 국격의 상징이라 용산으로 옮긴 건은 실책”이라고 답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도 앞서 SNS를 통해 “다음 대통령은 당선 즉시 내란의 소굴인 용산에서 벗어나 부처가 있는 세종으로 옮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경수 전 경남지사는 지난 2월 18일 국회에서 ‘행정수도 이전’을 주제로 한 토론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대통령실의 경우 (차기 정부가) 용산을 쓸 수도 없다”고 선을 그었다.
다만 청와대는 보안 등 문제로 다시 쓰기 어렵다는 것이 중론이다.
김 전 지사는 “완전히 개방된 청와대를 사용하기에도 어려움이 있어 어디를 쓸지 정해야 하는 시점”이라며 “빠르게 세종으로 이전하는 것이 현실적 방안”이라고 제안했다.
김 지사는 “세종 대통령실로 세종시는 명실상부한 수도가 될 것”이라며 “2028년 준공 예정인 세종 국회의사당 등 입법부, 사법부까지 세종과 충청권에 자리를 잡는다면 국가균형발전에 확실한 진전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역시 최근 대통령실 세종 이전 가능성을 검토하고 나선 바 있다.
그러나 일각에선 세종 이전은 현실 가능성이 떨어진다는 회의론도 나온다.
세종으로 수도권 이전하려면 개헌해야 하는데 정작 다수 여론조사에서 최고 지지율을 기록하는 이 대표는 개헌에 유보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안창모 경기대 건축학과 교수는 “대통령실을 세종으로 이전하는 것은 문제가 없으나 지나치게 밀집된 권역으로 키울 경우 세종을 ‘행정수도’로 만드는 이유인 국토균형발전에 오히려 어긋나는 것”이라고 제언했다.
이희정 서울시립대 도시공학과 교수는 “청와대는 보존의 가치는 있을지 모르나 시설 자체가 노후화되고 소통이 어렵다는 본질적인 구조 문제도 있어 누가 대통령이 되더라도 다시 들어가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만약 지역 자체를 옮기지 않고 계속 서울에 대통령실을 둔다면 용산을 그대로 쓰되 급하게 이전하느라 임시 건물을 쓰는 등 형태를 보완하고 용산공원 부지와 연계해 미국 백악관처럼 제대로 된 공간을 마련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 경기신문 = 이유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