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은 9일 성남 공단 본부에서 발대식을 갖고 경계선 청년의 고용지원 모델 발굴을 위한 13인의 국민디자인단을 구성했다고 밝혔다.
정책 전문가, 기업 관계자, 경계선 청년 당사자 등으로 이뤄진 국민디자인단은 행정안전부 주관 ‘공공서비스디자인’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구성됐다.
장애인고용공단은 오는 6월까지 국민디자인단원들과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쳐 고용지원 사각지대에 놓인 경계선 청년에게 적합한 서비스 기준·지원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이종성 장애인고용공단 이사장은 “국민디자인단과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국민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며 국민의 관점에서 필요한 제도와 정책을 만들어 가는데 적극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경계선 청년이란 현행 장애인복지법으로 분류할 수 없는 다발성 외상환자, 경계선 지능인 등으로 고용지원 사각지대에 놓인 사람들을 뜻한다.
[ 경기신문 = 나규항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