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 구직자 2명 중 1명은 ‘양질의 일자리 부족’과 ‘경력 위주의 채용’을 구직의 가장 큰 걸림돌로 꼽았다. 또 미취업 청년들이 생각하는 ‘최소한 일할 만한 연봉’은 평균 3468만 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22일 여론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전국의 미취업 청년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청년 일자리 인식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현재 구직활동 중인 미취업 청년들은 ‘양질의 일자리 부족’(30.0%)과 ‘경력직 위주의 채용 구조’(20.4%)를 주요한 어려움으로 꼽았다. 이어 ‘과도한 자격요건·스펙 요구’(19.6%), ‘지속적인 실패로 인한 자신감 저하’(14.6%), ‘일자리의 수도권 집중’(6.7%) 등의 응답이 뒤를 이었다.
반면 현재 구직활동을 하지 않고 있는 미취업 청년들은 ‘자격증·시험 준비’(19.6%), ‘적합한 일자리 부족’(17.3%), ‘휴식 필요’(16.5%) 등을 이유로 들었다. 또한 ‘과도한 스펙·경력 요구’(13.8%), ‘계속된 실패’(9.2%) 등으로 구직을 미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취업 청년들이 생각하는 ‘양질의 일자리’ 조건으로는 ‘급여 수준’(31.8%)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그 뒤를 ‘고용 안정성’(17.9%), ‘일과 삶의 균형’(17.4%), ‘조직문화’(7.3%), ‘개인 적성과의 일치’(7.2%) 등이 이었다.
이들이 최소한으로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연봉 수준은 평균 3468만 원이었다. 최종학력별로는 고졸 이하가 3227만 원, 대졸 이상은 3622만 원으로 집계됐다.
삶의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평균 3.86점으로, 통계청이 조사한 전체 청년 평균(6.7점)보다 크게 낮았다. 청년층의 고용 불안정이 전반적인 삶의 질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청년 일자리 정책과제로는 ‘양질의 일자리 확대’(32.7%)가 가장 많이 꼽혔으며, ‘구직기간 비용 지원 등 경제적 지원’(18.2%), ‘체험형 인턴 기회 확대’(16.0%), ‘맞춤형 교육·훈련 제공’(11.3%) 등이 뒤를 이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경기침체 장기화, 불확실한 대내외 경영환경 등으로 기업의 신규채용이 줄어들면서, 청년들의 어려움이 심화되고 있다”며 “청년들이 원하는 일자리를 확대하기 위해 신산업을 육성하고 규제 완화를 통해 기업 활력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