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시가 추진하는 작전역 복합환승센터 건립사업이 제자리만 맴돌고 있다.
국토교통부의 도시재생혁신지구 지정 추진 계획과 중복돼 추가 검토가 필요해졌기 때문이다.
28일 시에 따르면 ‘작전역 복합환승센터 건립 기본구상 및 타당성 용역' 완료 시점이 올해 상반기에서 하반기로 미뤄졌다.
이 용역은 작전역 일대에 복합환승센터를 만들기 위해 사업 타당성을 분석하고 시설 규모와 운영 방안 등을 검토하는 절차다.
인천1호선 작전역은 23개 노선버스와 청라~강서 간 간선급행버스(BRT) 정거장이 있어 서울과의 접근성이 뛰어나다. 여기에 GTX-D·E 노선에도 포함돼 있다.
이를 토대로 교통·상업·주거기능까지 아우르는 복합공간으로 조성해 인천 북부권 교통 요충지이자 핵심 거점으로 키우겠다는 구상이다.
하지만 지난해에 이어 올해까지 도시재생혁신지구 지정 추진 계획과 맞물려 용역은 중단과 재개를 거듭하고 있다.
당초 시는 2023년 10월 용역을 시작해 이듬해 10월 완료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 과정에서 작전역이 인천 원도심 역세권 활성화 시범사업 대상지로 선정되며 용역 계획에 차질이 생겼다.
이후 시가 작전역 일대를 후보지로 정해 국토부 도시재생혁신지구 공모사업에 참여하며 용역 완료를 한 달 앞둔 시점에서 중단이 결정됐다.
복합환승센터 사업 대상지와 도시재생혁신지구 후보지가 중복되며 연계 필요성이 제기된 탓이다.
시는 올해 도시재생혁신지구 사업계획을 수립해 내년 국토부에 지정 신청을 한다는 방침이다.
결국 시는 두 사업의 연계 수립 방안을 검토한 뒤 올해 1월 용역을 재개했다.
하지만 용역 완료를 한 달여 앞둔 지난 24일부터 용역은 또다시 중단됐다.
이번에도 두 사업의 중복에 따른 연계 수립 방안이 발목을 잡았다.
최근 진행된 용역 보고회에서 연계 수립 방안에 대한 검토가 더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기 때문이다.
시는 이에 대한 추가 검토를 진행하고 있다. 이로 인해 용역 완료 시점이 오는 8월로 변경됐다.
시 관계자는 “보고회에 나온 의견을 검토할 시간이 부족해 부득이하게 용역 완료 시점을 변경했다”고 말했다.
한편 작전역 복합환승센터 사업은 민선8기 유정복 시장의 공약이다. 지난 2009년 사업 타당성 부족으로 백지화된 이후 유 시장이 공약으로 채택하며 재추진되기 시작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박지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