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9 (화)

  • 맑음동두천 13.5℃
  • 맑음강릉 13.9℃
  • 맑음서울 14.3℃
  • 맑음대전 15.6℃
  • 맑음대구 17.4℃
  • 맑음울산 12.9℃
  • 맑음광주 15.8℃
  • 맑음부산 13.4℃
  • 맑음고창 10.7℃
  • 맑음제주 14.3℃
  • 맑음강화 11.3℃
  • 맑음보은 13.3℃
  • 맑음금산 14.7℃
  • 맑음강진군 12.7℃
  • 맑음경주시 14.1℃
  • 맑음거제 13.7℃
기상청 제공

버스정류소 이름 팔아볼까 했더니…인천시, 용역비 부담에 ‘고민’

자칫 배 보다 배꼽이 더 클 수도
경기 침체로 민간 참여 ‘글쎄’

 

버스정류소 이름을 팔아 돈을 벌려고 한 인천시가 고민에 빠졌다.

 

사업을 위한 용역비만 수천만 원에 달해 자칫 배 보다 배꼽이 더 클 수 있어서다.

 

29일 인천시에 따르면 자체 수익을 확보하려는 방안으로 ‘버스정류소 명칭 병기’ 사업 추진을 검토하고 있다.

 

인천시는 유상 판매로 거둔 세입을 버스승강장 정비에 재투자한다는 구상을 내놨다.

 

31억 6700만 원에 달하는 버스승강장 유지관리비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될 수 있다는 판단이었다.

 

하지만 실제 도입까지 이뤄질지는 미지수다.

 

버스정류소 명칭 병기 유상판매는 전국 최초로 울산시에서 도입했다. 서울시 등 다른 지자체도 검토했으나 시행은 아직이다.

 

넘어야 할 산이 많기 때문이다.

 

올해 인천시는 버스정류소 명칭 병기 유상판매 방침을 수립하고, 환승정류소 등 이용객이 많은 곳을 중심으로 도입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기준금액을 정하는 과정부터 난관에 부딪혔다.

 

인천시는 감정평가를 진행하려 했는데, 감정평가법인 2곳에서 임대료 등 기존 데이터가 없어 평가가 어렵다는 답만 돌아왔다.

 

이에 인천시는 판매금액 산정을 위한 용역 발주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

 

문제는 예산 낭비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수요조차 확인되지 않은 상황에서 용역을 추진하면 수익보다 지출이 클 수 있어서다.

 

대개 용역에는 4000만~5000만 원가량의 사업비가 들고, 기간도 최소 반년 이상 소요된다.

 

설령 용역을 거쳐 사업을 시행하더라도, 경기 침체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민간 참여를 기대하긴 어려운 분위기다.

 

게다가 버스정류장 간격은 500m로 짧고, 유동 인구도 지하철역에 비하면 턱없이 적다. 지하철 역명 부기 대비 광고 효과가 적은 만큼 매력이 떨어진다는 얘기다.

 

인천시 관계자는 “버스승강장 광고판 감정평가와 병행하려 했으나 기초 데이터가 없어 어렵다는 답을 들었다”며 “용역을 추진하는 게 타당한지 등 전반적으로 사업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김민지 기자 ]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