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 최종 양강 경선을 벌이고 있는 김문수·한동훈 후보는 30일 마지막 TV토론에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와의 단일화 여부를 놓고 신경전을 펼쳤다.
두 후보는 이날 TV조선이 주관한 토론에서 ‘한 대행과의 단일화가 당 최종 후보가 선출된 전당대회 직후여야 하느냐’는 질문에 김 후보는 ‘○’ 팻말을 들고, 한 후보는 ‘○’도 ‘X’도 들지 않아 차이를 보였다.
한 후보는 “(최종) 후보가 된 다음에 우리의 승리를 위해 누구와도 어떤 방식으로도 협력하겠다”며 “그렇지만 지금은 말할 단계가 아니다. 지금은 여기(경선)에 집중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지금 언제 누구와 단일화를 할 것이냐 자체가 큰 이슈가 된다는 건 당원에 대한 예의가 아니고 우리 승리에도 도움이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에 비해 김 후보는 “한 대행이 무소속 출마를 하면 늦지 않게 국민이 볼 때 합당한 방법으로 반드시 단일화 하겠다”며 “다른 (당) 후보와도 반(反)이재명 전선에서 이기기 위해 빅텐트를 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자 한 후보는 이어진 주도권 토론에서 김 후보에게 “최종 후보가 되면 그때 한 대행에게 (최종) 후보 자리를 양보할 용의가 있느냐”고 물었다.
이에 김 후보는 “당원과 국민이 애를 써서 뽑아준 후보가 후보를 양보한다면 명분이 있어야 한다”며 “어떤 명분으로 양보해야 한다는 건지 질문 자체가 납득이 안 간다”고 웃으며 답했다.
두 후보는 ‘빅텐트’와 관련해 협상의 전제조건으로 국민의힘 당명 변경을 요구하고 있는 전병헌 새미래민주당 대표와 이낙연 새미래민주당 고문(전 국무총리) 등 옛 민주당, 친문(친문재인)측을 한목소리로 비판했다.

한 후보는 “친문의 대표적인 분들인 이낙연 전 국무총리나 전병헌 대표 같은 분이 우리 당에 갑질하듯 ‘빅텐트를 원하면 당명을 바꿔라, 윤석열 전 대통령을 출당시켜라’ 이런 요구를 하고 있다”며 “77만 당원들께서 대단히 자존심이 상할 것 같아 마음이 아팠다”고 말했다.
또 “(국민의힘) 지도부가 ‘대선 후에 당명 변경 약속은 가능하다’고 했다는 보도가 있다”며 “대단히 부적절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김 후보도 “저도 참 황당하게 생각했다"며 "당명을 고치라는 것은 다른 집의 아이를 보고 이름을 고치라고 하는 것과 똑같다. 지금 말씀하신 부분은 해서는 안 될 말, 아주 상식에 벗어난 것”이라고 동감을 표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2030 청년 평가단 16명을 영상으로 연결해 두 후보의 청년 정책 2개에 대해 즉석에서 표 대결을 펼치며 정책을 설명하는 ‘청심(靑心)을 잡아라’ 코너가 진행됐다.
‘주택정책’에 대해 김 후보는 ‘청년주택 5만호, 신혼주택 15만호’를, 한 후보는 ‘청년 LTV 규제 완화, 취·등록세 면제’를 각각 제시한 가운데 16명 모두 한 후보의 정책을 선택했다.
또 ‘결혼·육아정책’에 대해 김 후보는 ‘0세 아동 1:1 보육 실현’을, 한 후보는 ‘0세~초등학생 돌봄 국가책임제’를 각각 제시해 10명이 한 후보, 6명이 김 후보 정책을 선택했다.
이어 김 후보는 대표 청년 정책으로 ‘남녀 불문 군 가산점 도입’을, 한 후보는 ‘스마트 청년복지계좌’를 각각 설명하며 청년 표심을 겨냥했다.
[ 경기신문 = 김재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