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외국산 자동차 부품에 대해 예고했던 25% 관세가 현지시간으로 3일 0시 1분(한국시간 3일 오후 1시 1분)부터 공식 발효됐다. 이는 지난 3월 26일 발표한 포고문에 따른 조치로, 미국의 보호무역주의가 자동차 산업 전반에 미칠 파장이 본격화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앞서 외국산 완성차에 대한 25% 관세는 지난달 3일부터 이미 시행 중이다. 다만 트럼프 전 대통령은 미국 내에 조립시설을 보유한 완성차 업체들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관세 적용을 일부 유예하는 수정 포고문을 지난달 29일 발표했다.
이에 따라 올해 4월 3일부터 내년 4월 30일까지는 미국 내에서 조립한 차량 가격의 15%에 해당하는 외국산 부품에 대해 관세를 면제하고, 내년 5월 1일부터 2027년 4월 30일까지는 해당 비율을 10%로 낮춰 면제하기로 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또 자동차·부품 관세와 캐나다·멕시코, 알루미늄, 철강 등에 부과된 관세가 중복 적용되지 않도록 하는 행정명령에도 서명했다. 중복 항목이 존재할 경우, 자동차 및 부품 관세를 우선 적용하도록 했다.
이 같은 관세 정책 완화에도 불구하고, 한국 자동차 부품업계는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미국 수출 의존도가 높은 업체들을 중심으로 수요 위축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한국의 대미 자동차 부품 수출 비중은 2020년 29.5%에서 지난해 36.5%로 급증했다. 미국의 전체 자동차 부품 수입 중 한국산 비중은 6.4%로, 금액 기준 약 135억 달러(약 19조 원)에 이른다.
부품 종류별로는 전기차 배터리·모터 등 전동화 부품이 30억 달러로 가장 많고, 새시·구동축(30억 달러), 전자·전기 부품(25억 달러), 차체 부품(23억 달러), 엔진 및 부품(13억 달러), 타이어 및 튜브(8억 달러)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 소비자 가격 상승으로 외국산 부품에 대한 수요가 위축될 경우 수출 감소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며 “대미 수출에 대한 대응 전략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