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일 오전 3시쯤 경기도 시흥시 소재 SPC 삼립 시화공장에서 50대 여성 작업자 A씨가 컨베이어 벨트에 끼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A씨는 컨베이어 벨트 작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윤활유를 뿌리는 작업을 하던 중 기계에 몸이 빨려 들어가 상반신이 끼인 것으로 확인됐다. 현장에 출동한 소방당국이 도착했을 때 A씨는 이미 두개골이 손상된 상태로 숨져 있었다.
경찰이 확보한 진술에 따르면 A씨는 평소 컨베이어 벨트가 삐걱거리면 몸을 깊숙이 기계 안으로 넣고 윤활유를 뿌려야 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정확한 경위를 조사 중이며, 관계자들은 현재 경찰 조사를 받고 있다.

문제는 이런 사고가 한두 번이 아니라는 점이다. 2022년 평택 SPL 제빵공장에선 20대 여성 B씨가 샌드위치 소스 배합기에 끼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당시에도 기계에는 자동 방호장치가 없었고, 2인 1조 작업 원칙도 지켜지지 않았다.
사고 이후 SPC는 노후 기계 교체, 안전 장비 설치 등 재발 방지 대책을 내놨지만, 실효성은 없었다. 2023년 10월엔 같은 시화공장에서 빵 포장기계에 50대 작업자가 손을 다쳤고, 11월엔 정기 점검 중 컨베이어가 내려앉아 작업자가 중상을 입었다.
SPC 계열사 성남 샤니 공장도 예외는 아니었다. 2022년 10월엔 불량품 박스를 빼내던 중 작업자의 손가락이 절단됐고, 2023년 8월에는 50대 작업자가 장비에 끼어 숨졌다.
현장에선 "SPC는 안전을 챙기는 척만 한다"는 냉소적인 비판이 터져 나온다. 한 공장 작업자는 “사측이 보여주기식 대책만 반복하면서, 정작 현장은 변한 게 없다”며 “빵보다 목숨값이 싸다는 말이 나올 정도”라고 전했다.
실제 산업 현장의 기계는 여전히 노후화돼 있으며, 인력 부족으로 인해 1인 작업이 일상화된 지 오래라는 주장이 나온다. 작업자 교육은 형식적으로 진행되고, 사고 예방보다는 생산성 유지가 우선순위에 놓이는 구조적 문제가 고스란히 드러난 셈이다.
더욱이 SPC는 매년 수조 원의 매출을 기록하는 대기업임에도 불구하고, 반복되는 사고에 대해 책임을 모면하거나 일시적인 ‘사고 수습’에 그치는 대응만 해왔다는 비판이 거세다.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에도 달라진 게 없다는게 현장 반응이다.
노동계에서는 SPC에 대한 강도 높은 특별근로감독과 공장 전체에 대한 구조적 점검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SPC 관계자는 "사고 관련 조사가 진행 중이라 구체적인 입장은 밝히기 어렵다"고 말했다.
한편 SPC는 이날 사고가 발생한 직후 공장 가동을 중단한 상태다.
[ 경기신문 = 박진석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