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연구진이 mRNA 치료제의 핵심 구조로 그동안 정확한 분석이 어려웠던 'poly(A) 꼬리'의 길이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21일 아주대학교는 박대찬 아주대 교수와 남재환 가톨릭대 교수 공동 연구팀이 mRNA 치료제의 핵심 구조인 poly(A)꼬리의 길이를 정확하게 정량 분석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공동 연구팀이 주목한 poly(A) 꼬리는 mRNA 치료제의 핵심 구조다. poly(A) 꼬리는 mRNA의 3 말단에 위치한 아데닌 염기의 반복 서열 구조로, mRNA의 안정성 유지와 단백질 발현 효율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poly(A) 꼬리 길이와 구조의 정확한 평가가 mRNA 치료제의 안정성 및 발현 효율과 직결된다는 점에 주목해 링커 구조 포함 여부 등 poly(A) 꼬리에 대해 구조적 다양성을 갖는 4종의 체외 전사 mRNA를 자체 제작한 뒤 이를 3AIM-seq 분석법 성능 검증에 활용했다.
이번 연구는 mRNA 치료제의 구조적 품질평가에 있어 정밀도와 재현성을 동시에 갖춘 새로운 분석법을 제시한 것으로, 관련 치료제 개발 및 제조 과정에서 poly(A) 꼬리의 길이와 구조를 동시에 평가할 수 있는 실용적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박 교수는 "이번 연구성과는 mRNA 치료제의 기본 형태 가운데 분석이 가장 어렵다고 여겨져 온 ‘poly(A)’의 품질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분석 기술"이라며 "연구팀이 개발한 새로운 시퀀싱 분석법(3AIM-seq)은 앞으로 mRNA 백신 및 치료제의 품질관리를 위한 핵심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장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