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령·대청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지정 절차가 답보 상태에 머물러 있다.
북한이 이 공원 신청에 대해 이의제기한 지 두 달이 흘렀지만 방안 모색은 여전히 공회전이다.
27일 인천시에 따르면 유네스코 및 주유네스코 대한민국 대표부로부터 세계지질공원 신청에 대한 북한의 반대 사유 회신은 없는 상태다.
세계지질공원은 지형·지질 유산뿐 아니라 생태·역사·문화적 가치를 보전하고, 지역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지정된다.
특히 백령·대청도에는 다수의 지질유산이 남아 있다. 내륙과는 다른 특성을 지녀 동아시아 지각의 진화 과정을 밝힐 실마리를 품은 지역으로도 평가된다.
이에 시는 이곳 육상 66.86㎢와 해상 161.18㎢ 등 228.04㎢ 규모로 세계지질공원을 신청한 상태다.
올해 2월부터는 회원국 공람이 시작됐으며 같은 해 4월에는 현장실사를 위한 실무 TF를 구성하는 단계까지 왔었다.
하지만 회원국 공람 만료일 직전 추진에 제동이 걸렸다. 유네스코가 회원국인 북한으로부터 반대 의견을 접수한 것이다.
회원국 공람은 유네스코가 신청서 요약문을 회원국들에게 공유하고 확인·이의신청 등을 밟는 절차다.
세계지질공원 규정 제5.4(iv)조에 따르면, 서면 이의제기가 접수된 경우 과학적 평가가 진행되지 않는다. 해당 회원국이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
이에 따라 올해 5월 22일부터 세계지질공원 추진 절차가 중단됐다.
시는 북한과 ‘소통 창구’를 열기 위해 지난 6~7월 외교부·환경부·통일부 등 중앙부처와 직접 만나며 현재 상황을 공유하는 등 지속 협의하고 있다.
외교부도 반대 사유를 기다리고 있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유네스코로 지정되면 국비 지원이 용이해지며 국제적으로 지역 가치가 상승한다. 외국인 관광객 유입 효과를 누리는 등 경제 활성화 효과가 기대된다.
실제로 지난 2010년 섬 전체가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된 제주도에는 관광객이 급증했다.
인증 이전인 2009년 관광객 수는 652만 명이었지만 2013년에는 1085만 명으로 껑충 올랐다. 66.4%가 뛴 셈이다.
이곳을 찾는 외국인도 늘었다. 2009년 63만 명에서 2013년 233만 명으로 3배 넘게 (269%) 증가했다.
지질공원 탐방프로그램 등 마을 상품도 개발되면서 관광 수입 또한 크게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백령·대청의 경우도 유네스코 지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북한은 묵묵부답으로 일관하는 상황에서 뚜렷한 대책 마련은 없는 상태다. 유네스코 지정이 ‘무기한’ 연기될 수도 있단 의미다.
상황이 이렇자 지금까지 쌓아온 시의 준비가 수포로 돌아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시 관계자는 “회신을 기다리고 있는데 유네스코도 이런 경우가 처음이다 보니 어떤 내부적인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이어 “채널 자체가 열려야 구체적으로 협의를 할 수 있지만 아직은 소통 채널이 전혀 없다. 현재 외교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다”며 “장관들이 임명되고 체계가 갖춰지면 다시 방문해 상황 등을 말하려 한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유지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