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주대병원 종양혈액내과 최진혁 교수팀이 '위암 수술 후 보조항암치료의 최적 시작 시점'을 규명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국내 위암 환자 1만 9140명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후향적 코호트 분석으로 위암 치료의 실질적 임상 가이드라인 마련에 중요한 근거를 제시했다.
위암은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국가에서 발병률이 높은 암이다.
특히 2~3기 위암 환자의 경우 근치적 수술 이후 보조항암화학요법을 통해 재발률을 낮추는 것이 표준 치료로 권고되고 있으나 그간 항암치료의 시작 시점에 대한 명확한 기준은 부족했다.
이에 최진혁 교수팀은 이현우, 김태환 교수와 함께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전국 데이터를 활용해 2014년부터 2018년까지 표준 보조항암치료 요법인 S-1(에스원) 또는 CAPOX(카페시타빈, 옥살리플라틴 병용요법)으로 보조항암치료를 받은 위암 환자 1만 9140명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환자군은 항암치료 시작 시점에 따라 ▲6주 이내(1만 2843명) ▲6~8주(5386명) ▲8주 초과 16주 이내(911명)로 나뉘었다.
분석 결과, 보조항암치료를 수술 후 6주 이내에 시작한 환자군의 5년 무병생존율은 63%, 전체생존율은 72%로 가장 높았으며, 6~8주군은 각각 57%, 66%, 8주 초과군은 47%, 53%로 나타났다.
항암제 종류와 무관하게 이 같은 결과는 일관되게 나타났고 나이, 동반질환 등 다양한 변수에 대한 보정 및 성향점수매칭 분석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됐다.
이는 보조항암치료의 시작 시점이 환자의 예후에 독립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뒷받침한다.
최진혁 교수는 “위암 수술 후 항암치료 시점을 두고 임상 현장에서 명확한 근거가 부족했던 상황에서 이번 연구가 치료 시기 결정에 실질적인 기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김태환 교수는 “위암 재발을 줄이고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수술 후 6주 이내 항암치료가 가능하도록 환자의 회복과 진료 일정의 조율에 대한 노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암 학술지 '디 온콜로지스트(The Oncologist)' 6월호에 'Timing of Adjuvant Chemotherapy and Outcomes in Gastric Cancer: A Nationwide Retrospective Cohort Study'라는 제목으로 게재됐다.
[ 경기신문 = 류초원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