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1 (금)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디지털 교과서 대신 '학습 플랫폼' 시대…확산 발판되나

다양한 기능 탑재, 현실적 대안으로 주목
경기도교육청 '하이러닝'…"가장 완성형"
"고도화 이뤄지면 장기적으로 안착 가능"

 

AI 디지털 교과서가 퇴출 수순을 밟으면서 그 자리를 공공 기반의 교수·학습 플랫폼이 대체할 조짐이 보이고 있다. 

 

지난 5월 이재명 대통령(당시 대선 후보)은  "AI 디지털 교과서는 교육자료로 활용하되, 학교 자율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다양한 학습 콘텐츠 활용을 위한 공공 플랫폼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AI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이 본격화된 직후 AI 디지털 교과서를 둘러싼 교육계 내부 갈등이 이어지며, AI 디지털 교과서가 아닌 학습 '플랫폼'에 무게를 싣겠다고 선언한 셈이다.

 

콘텐츠 검정 체계 불안정성과 학생 개인 정보 관리 문제 등 수많은 쟁점을 낳아온 AI 디지털 교과서와 비교해, 학습 플랫폼은 학교 자율성을 보장하고 다양한 기능 개발이 이뤄졌다는 점에서 점차 현실적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중앙정부의 정책 선언보다 앞서, 전국 시도교육청은 이미 학습 플랫폼 중심의 전환을 꾀하고 있다. 서울·부산·인천·대구 등 주요 시도교육청은 자체 플랫폼을 구축하고, 교사 연수 및 콘텐츠 탑재를 병행하며 '교과서 없는 수업' 실험에 돌입했다.

 

특히 경기도교육청의 교수·학습 플랫폼 '하이러닝(Hi-Learning)'은 AI 기반의 개인 맞춤형 학습을 전면에 내세우며 빠르게 확산 중이다. 

 

하이러닝은 학생별 진도·성취 수준에 맞춘 콘텐츠 추천 기능, 교사 간 수업 자료 공유 기능, 학부모 참여형 진단 및 피드백 체계를 담고 있어 전국 시도교육청 플랫폼 가운데 가장 '완성형'에 가깝다는 평가를 받는다. 최근에는 완성도 높은 AI 서논술형 평가 시스템을 선보이며 교육계 내에서 주목을 받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학습 플랫폼이 디지털 교과서의 완전한 대안이 되기 위해선 넘어야 할 과제도 적지 않다. 가장 큰 문제는 학습 콘텐츠의 질과 다양성이다. 

 

경기 지역의 한 교사는 "이미 교사들은 포털 사이트의 '카페'나 '블로그' 등에서 길게는 수십 년간 학습 자료를 공유해왔기 때문에 콘텐츠 공유 체계가 구축된 과목이 많다"며 "콘텐츠의 절대적인 양이나 질로 봤을 때 학습 플랫폼을 사용해야 할 이유를 못 느끼는 경우도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AI 기반 학습 분석으로 이뤄지는 맞춤형 콘텐츠 제공과 학생-교사 간 양방향 소통, 평가와 진도 관리부터 학부모 지원까지 수업 내에서의 활용도가 높아지는 만큼 장기적으로 고도화가 이뤄진다면 교실에 안착할 수 있다는 것이 학교 현장의 평가다. 

 

AI 디지털 교과서라는 단일 콘텐츠의 한계를 넘어 학교와 교사가 중심이 되는 학습 플랫폼 기반 수업이 확산될 수 있을지 교육계 관심이 집중된다. 

 

[ 경기신문 = 박민정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