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하반기에는 반도체 업종 일자리가 증가하고 섬유 일자리는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31일 한국고용정보원과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은 기계, 조선, 전자, 섬유, 철강, 반도체, 자동차, 디스플레이, 금속가공, 섬유화학 등 국내 10개 주력 제조 업종에 대한 하반기 일자리 전망을 발표했다.
업종별 경기 전망 등을 토대로 예측한 결과 작년 하반기 대비 반도체 업종 일자리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전년 동기 대비 고용 증가율 기준 1.5% 이상이면 '증가', -1.5% 이상 1.5% 미만이면 '유지', -1.5% 미만은 '감소'로 분류된다.
증가가 예상된 반도체 일자리의 경우 인공지능(AI) 시장 성장에 따른 고부가 메모리 시장 호황 등으로 수출이 증가하면서 일자리가 4000명 늘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섬유업종 일자리는 올해도 감소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소비심리 개선으로 내수 회복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오지만 생산시설의 해외 이전에 따른 수출 및 생산 감소세 지속으로 섬유업 일자리는 작년 하반기보다 4000명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기계·조선·전자·철강·자동차·디스플레이·금속가공·섬유화학 업종은 전년 동기 고용 수준을 유지할 전망이다. 2023년 증가세로 올해 상반기까지 일자리가 늘 것으로 전망됐던 조선의 경우 수출 증가세 완화 영향에 고용이 전년 동기와 비슷한 수준(2000명)을 유지한다.
자동차는 내수와 생산이 유지 또는 소폭 확대되지만, 국제통상 환경 불확실성의 영향으로 수출이 축소돼 고용은 1천명(0.1%) 증가 수준으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됐다.
기계 업종은 수출과 내수 부진으로 생산이 줄어 5000명 감소, 전자는 IT 제품 수요가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증대 등으로 5000명 감소해 전년 동기와 유사한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 밖에 철강, 디스플레이, 금속가공, 석유화학은 각 -1.0%(1000명), -0.2%(200명), -0.6%(2000명), 0.8%(2000명) 수준으로 고용을 유지할 전망이다.
[ 경기신문 = 장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