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전 대통령의 배우자 김건희 여사에 대한 각종 의혹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별감사팀이 목전으로 다가온 김 여사의 구속전피의자심문 준비에 총력이다.
10일 법조계에 따르면 민 특검과 김형근·문홍주·박상진·오정희 특검보는 일요일인 이날 전원 사무실에 출근해 영장실질심사에서 펼칠 주장의 논리를 다지고 있다.
특검팀은 김 여사가 구속되지 않을 경우 증거를 인멸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구속 필요성을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김 여사가 특검팀 출범을 앞두고 코바나컨탄츠 사무실 노트북을 포맷하거나 휴대전화를 바꾸는 등 증거 인멸한 정황을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이른바 '문고리 3인방' 일원으로 불리는 유경옥·정지원 전 대통령실 행정관도 특검 수사 전후로 휴대전화를 초기화했고 이 역시 증거인멸이라는 게 특검팀의 시각이다. 이런 내용은 김 여사의 구속영장에도 적시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김 여사가 지난 6일 특검팀의 첫 소환조사 당시 단순히 혐의를 부인하는 선을 넘어 거짓말까지 동원하며 적극적으로 반박했다 판단하고 증거 인멸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특검팀이 구속영장에 적시한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과 정치 브로커 명태균 씨 공천개입 의혹, 건진법사 청탁 의혹 모두 증거와 진술이 상당히 확보된 만큼 혐의 사실도 구체적으로 드러났다.
구체적으로 주가조작 의혹의 경우 김 여사는 2010년 1차 작전 시기 주포인 이모 씨에게 16억 원이 든 증권 계자를 맡겼고 이후 4700여만 원을 받은 것으로 보고 있다. 이후 남은 주식을 처분하기 위해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 대표에게 20억 원 상당의 계좌를 밭기면서 수익 40%를 주기로 한 것으로 추정된다.
공천개입 관련해선 김 여사가 2021년 6월 26일∼2022년 3월 2일 명 씨로부터 2억 7440만 원 상당의 공표용 여론조사 36회, 비공표용 22회 결과를 무상으로 받은 것으로 의심된다. 이후 명 씨는 2022년 3월 중순 윤 전 대통령 부부를 찾아 이 점을 거론하며 김영선 전 국민의힘 의원의 공천을 요구했고, 이후 윤 전 대통령이 단수공천을 지시했다고 조사됐다.
건진법사 청탁 의혹에 대해 특검팀은 통일교 관계자가 건진법사 전성배 씨에게 '김 여사 선물용' 고가 다이아몬드 목걸이와 샤넬백을 전달한 날짜, 장소, 시세 등 구체적인 정황들을 파악했다.
현재까지 김 여사는 해당 모든 의혹을 부인하고 있다.
김 여사에 대한 구속전피의자심문은 오는 12일 오전 10시 10분 서울중앙지법 서관 319호 정재욱 영장 전담 부장판사 심리로 이뤄진다.
[ 경기신문 = 박진석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