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8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경기 여수신 증가세 둔화 가계대출 확대 기업대출 감소 전환

예금은행 수신 확대 비은행 수신 감소
주담대 중심 가계대출 증가 중소기업 대출 축소

 

한국은행 경기본부에 따르면 2025년 6월 경기지역 금융기관 수신은 3조 3127억 원 늘었고 여신은 1조 4287억 원 증가했다. 전월 대비 증가폭은 모두 둔화했다. 예금은행 중심의 자금 유입과 주택담보대출 확대가 이어진 반면 비은행권 수신과 기업대출은 감소로 돌아섰다.


28일 한국은행 경기본부가 공개한 ‘2025년 6월중 경기지역 금융기관 여수신 동향’에 따르면 6월 수신은 3조 3127억 원 증가해 전월 4조 1147억 원보다 증가폭이 축소됐다. 수신 잔액은 667조 9083억 원으로 전국 비중 11.7%다. 여신은 1조 4287억 원 늘어 전월 2조 7930억 원에서 둔화됐고 잔액은 696조 4143억 원으로 전국 비중 21.1%다.

 

예금은행 수신은 4조 1683억 원 증가해 유입세가 강화됐다. 요구불예금은 보통예금 중심으로 1조 8869억 원 늘었고 저축성예금은 반기말 재무비율 관리에 따른 법인자금 유입으로 2조 9380억 원 증가했다.

 

기업자유예금은 3조 2612억 원 늘며 저축성예금 증대를 이끌었다. 반면 시장성수신은 6565억 원 감소해 감소폭이 확대됐다. 비은행금융기관 수신은 8556억 원 줄며 전월 증가에서 감소로 전환했다. 자산운용회사와 신탁회사, 우체국예금이 일제히 감소로 돌아섰고 새마을금고는 감소폭이 확대됐다. 상호금융의 증가는 축소됐으나 상호저축은행은 611억 원 증가로 전환, 신협은 2452억 원 증가로 확대됐다.

 

여신은 가계 부문이 증가세를 주도했다. 가계대출은 1조 6671억 원 늘며 전월 1조 4745억 원보다 증가폭이 확대됐다. 주택담보대출이 1조 7천억 원 안팎 증가하며 흐름을 견인했고 기타대출은 소폭 감소 전환했다. 국토교통부 통계 기준 경기지역 주택 매매거래량은 6월 2.29만 건으로 상반기 중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기업대출은 2980억 원 감소해 전월 증가에서 감소로 바뀌었다. 대기업대출은 2685억 원 증가했으나 반기말 재무비율 관리에 따른 일시 상환 등으로 증가폭이 축소됐다. 중소기업대출은 5665억 원 줄어 은행권의 신용리스크 관리 지속과 반기말 부실채권 매각·상각 영향이 반영됐다. 금융기관별로 보면 예금은행 여신은 2조 29억 원 증가했지만 증가폭은 축소됐고, 비은행금융기관 여신은 5742억 원 감소로 전환했다.

 

신용보증도 둔화했다. 6월 경기지역 신용보증기관의 보증은 295억 원 감소해 전월 1616억 원 증가에서 감소로 전환했다. 제조업과 도소매업은 각각 338억 원, 221억 원 감소로 돌아섰고 건설업은 58억 원 증가했으나 증가폭이 축소됐다. 기관별로는 신용보증기금이 461억 원, 기술보증기금이 99억 원 감소했고 경기신용보증재단은 265억 원 증가했다.

 

지역별 예금은행 여수신 잔액을 보면 남부가 기업대출과 가계대출 비중에서 각각 81.2%, 83.4%를 차지해 자금 수요가 집중됐다. 수원시의 예금은행 여신은 기업대출 43조 4680억 원, 가계대출 18조 9419억 원 수준이고 성남시는 기업대출 31조 3014억 원, 가계대출 25조 1773억 원으로 집계됐다. 화성시는 기업대출 39조 4939억 원, 가계대출 21조 3482억 원으로 제조·주거 수요가 모두 큰 편이다. 북부는 고양시와 파주시 등의 비중이 높다.

 

요약하면 6월 경기지역 자금흐름은 예금은행으로의 유입과 주담대 중심의 가계대출 확대라는 특징을 보였다. 비은행권 수신과 기업대출의 동반 감소는 위험관리 강화와 반기말 재무지표 관리가 겹친 결과로 해석된다. 지역 내 자금수요는 남부권 산업·주거 축에 더 집중됐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