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1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화성특례시, 인구·면적 대비 경찰 인프라 부족 심화..."경찰서 신설 시급한 과제"

타 특례시보다 적은 2곳뿐…치안 불균형·주민 불안 갈수록 커져

 

급성장하는 화성특례시에 경찰서 신설 요구가 커지고 있다.

 

인구 106만 명을 넘어선 화성특례시가 급격한 도시 성장에도 불구하고 경찰 인프라는 여전히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시에는 화성동탄경찰서(동탄신도시권·정남·병점)와 화성서부경찰서(봉담· 양감·향남·우정·장안·송 ·새솔동 권) 단 두 곳의 경찰서만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화성특례시는 수도권 최대 면적(약 700㎢)을 자랑하며, 인구는 이미 106만 명을 넘어 전국 특례시 가운데 가장 많다.

 

비슷한 특례시와 비교해도 격차가 두드러진다.

 

수원특례시는 인구 약 120만 명에 경찰서 4곳, 고양특례시는 인구 약 106만 명에 3곳, 용인특례시는 인구 약 109만 명에 3곳의 경찰서를 보유하고 있다.

 

이에 비해 화성특례시는 인구 규모와 면적을 고려하면 최소 3~4곳의 경찰서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인구 106만 도시에서 경찰서 2곳은 명백한 불균형”이라며 “중앙정부와 경찰청 차원의 제도적 지원과 조속한 신설 계획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특히, 동탄·봉담 등 신도시 지역은 인구 밀집도가 높은 반면 치안 수요를 뒷받침할 인력이 부족해 주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지역 온라인 커뮤니티와 맘카페에서도 “화성은 인구는 106만이 넘는데 경찰서는 겨우 두 곳뿐이라니 말이 되느냐”며 “교통사고, 범죄 사건이 늘고 있는데 치안 불안이 커진다”는 불만 글이 이어지고 있다.

 

반대로 서부 농어촌 지역은 경찰 출동에만 수십 분이 소요되는 사례가 빈번하다.

 

서부 농촌 지역의 주민 김모 씨(65) 역시 “사건·사고가 나면 경찰차가 도착하기까지 최소 20~30분은 걸린다”며 “긴급 상황에서는 사실상 주민 스스로를 지켜야 하는 현실”이라고 토로했다.

 

화성은 단순히 인구만 많은 게 아니라 도시와 농촌, 해안과 공단이 공존하는 복합도시라 지역 특성에 맞는 맞춤형 치안 인프라 구축이 절실하다는 목소리다.

 

이런 특수성을 감안할 때 경찰서 추가 신설이 불가피하다고 지적한다. 특히 인구 밀도가 높은 동탄·봉담권, 공단 지역이 밀집한 남양·발안권, 그리고 농어촌 및 해안 지역을 고려하면 최소 2곳 이상의 경찰서 신설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이와 관련, 시는 지난 2023년부터 행자부와 경찰청에 경찰서 신설 필요성을 여러 차례 건의해왔지만,  그동안 적은 인원 충원에 그쳤다.

 

현재 화성서부경찰서 정원은 기존 496명에서 19명 증원한 515명이, 화성동탄경찰서 정원은 기존 493명에서 51명 증원한 544명이 근무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화성은 도시와 농촌, 해안과 공단까지 다양한 특성을 가진 복합 도시”라며 “경찰서 신설은 치안 공백 해소뿐만 아니라 특례시에 걸맞은 안전 인프라 확충의 핵심 과제로 중앙정부와 협력해 치안 불균형을 해소할 것”이라고 밝혔다.

 

[ 경기신문 = 최순철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