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돈이 필요해 여러 기관을 찾았지만 소상공인시장진흥센터는 처음 들어봐요.”
14일 오후 12시 인천 남동구 구월동의 한 카페. 업주 장모(52·여)씨는 손님들이 붐벼야 할 점심시간에도 일손을 놓은 채 계산대에 앉아 시간을 보내고 있다.
평소라면 손님이 붐벼야 할 시간대지만 지속되는 경기 악화로 발길이 끊긴 지 오래다. 장씨는 최근 급히 2000만 원을 빌리려 여러 기관을 찾았지만 소상공인시장진흥센터는 어디에서도 안내받지 못했다.
장씨는 “경기가 워낙 좋지 않다보니 업주들 사이에서 많은 정보가 오간다. 그런데 해당 센터는 처음 듣는다”며 “알려지지 않은 기관인데 소상공인에게 제대로된 지원이나 할 수 있을지 의문이 든다”고 말했다.
바슷한 시각 남동구에서 분식집을 운영하는 신모(43)씨는 최근 경영 교육 등을 배우기 위해 해당 센터를 방문했지만 금세 신청 계획을 포기했다. 지역에서 분점이 2곳에 불과하다는 안내에 지원 이력만 남고 별다른 혜택은 받지 못할 것이란 우려에서다.
신씨는 “규모가 워낙 협소한 탓에 예상했던 만큼 혜택을 받을 수 있을지 의문이 드는 기관”이라며 “자영업자들 사이에서 그냥 생색내기라는 자조 섞인 말들을 많이 한다”고 푸념했다.
인천지역 소상공인을 돕는 소상공인시장진흥센터가 단 2곳에 불과해 전국 최하위 수준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14일 더불어민주당 허종식 국회의원(동구미추홀구갑)이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인천에는 약 43만 명의 소상공인이 업체를 운영하고 있다.
이는 전국 17개 시도 중 경기와 서울, 부산, 경남에 이은 5위에 달하는 규모다.
그러나 이들을 지원하는 지역 센터는 북부와 남부 등 2곳 뿐으로, 전국 광역단체 중 가장 적은 규모로 파악됐다.
인천보다 소상공인 수가 크게 차이나는 대구(33만 9000명)와 광주(20만 1000명)도 각각 3개의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이 때문에 현재 이들 센터는 직원 1명 당 약 2만 3000명에 달하는 소상공인을 책임져야 하는 ‘살인적인 업무 환경’에 노출돼 있다.
센터 직원들은 전통시장 지원과 소상공인 교육, 화재·안전점검, 재난 복구 등의 업무를 수행해야 하지만 인력 부족으로 제대로 된 지원을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과도한 업무를 견디지 못하는 직원들의 이탈도 심각하다. 올해 7월 기준 센터 퇴사율은 10.34%로 울산(11.11%)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다. 전국 평균 퇴사율(4.04%)과 비교하면 2.5배가 넘는 수치다.
허종식 의원은 “인천은 수많은 소상공인이 지역 경제의 허리를 받치고 있지만 정작 이들을 지원할 조직이나 인력은 절대적으로 부족한 정책 사각지대에 놓였다”며 “정부는 지역의 현실을 파악해 조직 개편과 인력 확충 등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지우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