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도자재단이 2026년 3월 22일까지 경기생활도자미술관 2층 전관에서 2025 하반기 기획전 ‘다음 도예: 세대·탐색·확장’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지난 8월 체결된 서울옥션과의 업무협약에 따른 공동 기획 프로젝트로 도자의 미래를 이끌어갈 젊은 세대의 감각과 실험정신을 조명한다.
전시에는 1980~1990년대생 작가 7인(권혜인, 신원동, 양지운, 이송암, 이인화, 임재현, 정영유)이 참여했다.
달항아리의 조형미와 분청의 제작기법 등 전통적 요소부터 3D 모델링, 캐스팅 등 현대적 도자 기술까지 폭넓게 활용한 작품 60여 점이 전시된다.

각 전시 공간은 작가별 개인전 형식으로 구성돼, 개성 있는 도자 세계를 선보인다.
권혜인 작가는 삶과 죽음, 순환의 의미를 담은 전통 의례 공예품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했고, 신원동 작가는 ‘멈춤과 기다림’의 미학을 탐구한 ‘호(壺) 시리즈’를 통해 달항아리를 현대적으로 풀어냈다. 양지운 작가는 ‘소망을 담은 달’을 주제로 ‘금’ 속성 유약을 활용한 새로운 장식적 표현을 시도했다.
이송암 작가는 흑자의 질감과 유약의 흐름을 세밀히 제어하며 물성의 깊이와 표면 변화를 탐색하고, 이인화 작가는 빛을 머금는 얇은 백자 표면을 통해 물질과 빛의 관계를 사유한다.
임재현 작가는 3D 모델링과 슬립 캐스팅 기법으로 ‘접힘과 펼쳐짐’을 반복하는 패턴을 구현했으며, 정영유 작가는 자연에서 얻은 원토와 분청 기법을 활용해 흙의 원형적 감각을 드러냈다.

별도 영상 공간에서는 참여 작가 7인의 인터뷰와 제작 과정을 담은 영상이 상영돼, 각자의 창작 철학과 도자 예술의 확장된 방향을 엿볼 수 있다.
전시 관련 자세한 내용은 한국도자재단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박성훈 한국도자재단 상임이사는 “이번 전시는 도자 예술의 새로운 세대를 탐색하고 확장하는 자리”라며 “특히 서울옥션과의 협력을 통해 공공이 예술 생태계의 플랫폼으로 기능할 가능성을 보여주는 뜻깊은 전시로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류초원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