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증권이 중국 테크 산업 성장세에 맞춰 ‘화웨이 밸류체인 ETN’ 시리즈를 선보인다.
KB증권은 오는 27일 중국 심천·상하이 주식시장에 상장된 기업 중 화웨이에 부품·서비스·기술을 공급하는 20개 종목에 투자하는 ‘KB 화웨이 밸류체인 ETN’과 ‘KB 레버리지 화웨이 밸류체인 ETN’을 신규 상장할 예정이라고 24일 밝혔다.
그동안 미국시장 중심의 상승장에서 다소 소외됐던 중국 증시는 밸류에이션 부담이 낮은 수준이며, 이에 따라 투자자들의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내수 경기 활성화와 구조적인 유동성 확대에 힘입어 중국 증시로의 자금 유입이 지속되는 가운데, 중국 정부는 미국산 AI 반도체 의존도를 낮추고 AI 분야에서의 독립을 추구하고 있다.
이에 테크 관련주들이 중국 시장을 선도할 것으로 기대되며 통신 장비, 스마트폰을 비롯한 전자 기기, 클라우드 및 ICT, 인프라, 전기차, AI 등 광범위한 산업을 영위하는 화웨이에 주목하여 화웨이 밸류체인 상품을 출시하게 되었다.
‘KB 화웨이 밸류체인 ETN’ 및 ‘KB 레버리지 화웨이 밸류체인 ETN’의 기초지수는 각각‘Indxx China ICT Value Chain NTR Index’ 및 ‘Indxx China ICT Value Chain 2X Leveraged NTR Index’이다. 해당 상품은 비상장기업인 화웨이 기업 성과에 연동될 수 있는 화웨이 밸류체인 생태계 내 기업들 중에서 화웨이와 연관성이 높은 기업들에 투자함으로써 화웨이에 간접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레버리지 상품의 경우 일간 수익률의 2배를 추적하기 때문에 단기적인 상승을 기대하는 투자자에게 레버리지 투자 수단이 될 수 있다.
또한, 두 상품 모두 주가 수익률과 더불어 위안화 환율 변동도 상품 성과에 연동되는 환노출형 상품이다. 해당 상품의 연 보수는 0.00%이고, 만기는 10년으로 상장 이후 2035년 10월 17일까지 거래가 가능(예정)하며, 이후 상장폐지 된다.
김병구 KB증권 패시브영업본부장은 “화웨이는 첨단 산업에 집중하며 사업 다각화를 이뤄낸 대표적인 글로벌 기업이지만, 그동안 일반 투자자들이 접근하기는 쉽지 않았다”며 “이번 화웨이 밸류체인 상품을 통해 간접적인 투자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이어 “앞으로도 KB증권은 다양한 차이나 테마형 상품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KB증권은 “금융투자상품은 투자 결과에 따라 원금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발행자 신용위험이 존재한다”며 “투자 전 반드시 투자설명서와 홈페이지 안내문을 확인해달라”고 당부했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