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평의 문화, 예술, 천혜의 산소 휴양도시 개발로 일거리·먹을거리·볼거리의 경쟁력이 있는 가평특별군을 만들어 보겠다는 당찬의지를 밝힌 추선엽 영농조합법인 가평군친환경쌀 연구회 대표.
추 대표는 "가평군을 '휴양의 도시'로서 아름다운 자연과 편의시설, 문화적 매력 등을 고루 갖춘 자치단체로 만들고 싶다"고 밝혔다.
- 가평군의 다른 지역과 다른 점은?
면적은 경기도에서 두 번째로 넓고, 인구는 세 번째로 적은 편이며, 인구밀도 또한 두 번째로 낮은 가평군. 전체적으로 산으로 둘러싸인 지형이기에 내륙지방의 특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일교차와 연교차가 매우 커 낮과 여름엔 덥고 밤과 겨울에는 춥기까지 한다.
특히 평지가 거의 없으며, 산과 강, 계곡이 대부분인 데다가 북한강 상수원 지역이라 개발 자체가 어려운 실정이다.
가평지역이 수도권이면서도 자연보전권역에 속하는 등의 규제로 인해 여러가지 어려움을 겪고 있고, 인구감소 및 고령화 문제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가평군과 지역사회는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인구감소와 소멸위기 문제는 수도권 규제로 인해 대규모 산업시설 유치가 어렵고, 청년층 일자리가 부족하여 인구 유출이 심화되고 있는 것이 또 다른 원인이기도 하다.
때문에 가평군은 인구감소지역 재지정을 요구하고, 수도권이라는 이유로 정책지원에서 배제되는 역차별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중앙정부에 지속적으로 지원책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 이에 대해 가평군 나름의 자구책이 필요한 것 아닌가?
주거인구와 유동생활인구의 확대가 필요하며 가평군의 인프라, 즉 앞서 말한 휴양관광도시 정책 인프라를 활용하여 '생활인구 1000만 시대'를 목표로 인구감소 위기를 극복하자는 게 나의 생각이기도 하다.
특히 가평군 북면 적목리 소재에 북한탈북민 마을을 만들어 탈북인의 지역정착을 돕는 정책을 추진하는 등의 탈북민 교류를 늘리고 인구유입을 촉진하는 정책을 수립하는 동시에 청년층 유입을 위한 일자리및 정착지원 정책을 다각도로 모색해야 한다.
- 가평군의 인구유입정책 문제도 절실하다. 대책은?
가평군의 고령화율이 전국 최상위권에 속하고 청년층 유출이 심각하다.
따라서 귀농·귀촌 지원, 청년농업인 육성, 전입세대 지원금, 임대주택 공급 등은 지역의 지속 가능성을 위한 필수 전략이다.
귀촌 지원정책은 마을 공동체 회복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며 특히 청년층 정착은 교육, 문화, 돌봄 등 사회적 서비스 수요를 되살려 악순환을 극복할수 있겠지만 반면 부정적 측면도 적지않은 현실이다.
전입 장려금, 출산장려금 같은 직접 지원금은 단기적 유입 효과는 있으나 정착률이 낮아 '현금성 정책'에 그칠수 있다.
보다 중요한 것은 교육·의료·교통·문화 인프라 확충인데 가평군은 여전히 취약한 영역이기도하다. 결국 유입된 인구가 정착하지 못하고 다시 빠져나가는 사례가 적지 않다.
결론적으로 가평군의 인구 유입정책은 지역소멸 위기 대응 차원에서 반드시 필요하고 긍정적 효과가 있지만 정주여건 개선·일자리 창출·장기적 정착기반 마련이 뒤따라주지 않으면 단기적 반짝 성과에 그칠 위험이 크다.
-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은?
가평군은 올해 접경지역 선정과 자라섬 지방정원 선정 등 좋은 일이 있어 다행으로 생각한다.
가평군의 행정을 좀 더 반듯하게 만들고 소외된 분들을 제도적으로 도울 수 있는 역할을 하고 싶다. 때문에 분주하게 노력하고 있다. 열심히 하다보면 기회가 오는 거라 생각한다.
[ 경기신문 = 김영복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