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년간 부녀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는 전영숙 행궁동 새마을부녀회장이 12년 전 행궁동에서 열린 생태교통 수원 2013 축제 준비 과정을 회상하며 "낙후됐던 행궁동을 아름다운 마을로 바꿔준 수원시에 감사하다"고 말했다.
4일 수원시에 따르면 지난 3일 열린 27번째 새빛만남에 참여한 이재준 수원시장은 전영숙 부녀회장의 이야기에 "주민들이 협조해 준 덕분에 생태교통 수원 2013을 치를 수 있었고 축제 이후 행궁동은 전국적으로 이름이 알려진 명소가 됐다"고 답했다.
이번 행궁동 새빛만남은 어느 때보다 주민의 질문 열기가 뜨거웠다. 질문할 주민을 지목할 때마다 10여 명이 손을 들었다. 이날 새빛만남에서는 생태교통 수원 2013에 대한 질문이 주를 이뤘다.
앞서 시는 낙후되고 침체된 행궁동 일원을 재정비해 2013년 9월 최초로 '생태교통 수원 2013' 축제를 열었다. 축제가 열리는 한 달 동안 행궁동은 '차 없는 마을'로 운영해야 했고 주민들은 반대했다. 시는 행궁동에 현장 사무소를 설치, 당시 제2부시장이었던 이재준 시장과 공직자들은 주민들을 설득했다. 축제 이후 행궁동은 수많은 관광객이 찾는 명소로 자리매김 했다.
새빛만남에서는 마을 현안에 대한 의견도 나왔다. 매향중학교 운영위원장이 "등교 시간 학교 앞 차량이 엉켜있어 학생들이 위험하다"며 "해결방안을 마련해 달라"고 요청했고 이 시장은 교통 담당 부서 공직자에게 "최대한 빨리 등교 시간 현장에 나가 상황을 파악하고 오후에 보고해 달라"고 말했다.
또 조이화 행궁동상인회장은 "2013년 생태교통 페스티벌을 경험한 주민으로서 행궁동 상인들을 위해 '행궁동 지역상생구역 지정'을 추진해 줘서 감사하다"며 "행궁동 상권은 굉장히 발전했지만 상점 수가 급증해 힘들어하는 상인이 많다. 부동산중개업자 컨설팅 등 지원책을 마련해 줬으면 한다"고 건의했다.
행궁동 지역상생협의체는 토지주·임대인·임차인 각 3분의 2 이상 동의를 받아 지난달 24일 시에 '지역상생구역' 지정을 신청했다. 시는 이달 중 토지주·임대인·임차인·지역 주민·관계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공청회를 열어 의견을 수렴하고 다음 달 경기도에 지역상생구역 승인을 신청할 예정이다.
이 시장은 "임대료가 과도하게 오르면 공실이 늘어나고 행궁동 상권이 무너질 수 있다"며 "지역상생구역으로 지정되면 임대료가 안정돼 지속가능한 발전을 하는 상권이 조성될 수 있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장진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