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AI 홈’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 모듈러 홈 솔루션을 공개하며 국내 모듈러 주택 시장 공략에 나섰다. 5일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2025 스마트건설·안전·AI 엑스포’에서 1·2인 가구를 위한 미래형 주거 모델을 선보였다.
이번 전시는 국토교통부 주최로 250여 개 기업이 참여한 국내 최대 규모 스마트 건설 박람회다. 삼성전자는 지난 9월 독일 ‘IFA 2025’에서 처음 모듈러 홈 솔루션을 선보였으며, 이번 전시를 통해 국내 시장 확대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AI 홈’ 기반 모듈러 솔루션은 삼성의 스마트싱스 플랫폼을 중심으로 AI 가전, 조명, 도어락, 냉난방 공조, 환기 시스템 등을 연동해 생활 편의성과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한 주거 모델이다. 입주자는 로그인 한 번으로 AI 홈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며, 모듈러 건축 특성에 맞춘 턴키 방식으로 제공된다.
전시장 내 삼성 부스는 51㎡ 규모로 현관·주방·거실·침실·세탁실 등 5개 공간을 구성, ▲편리함(Ease) ▲효율(Save) ▲건강(Care) ▲안전(Secure)을 직접 체험할 수 있다. 전시된 주요 가전은 ▲비스포크 AI 하이브리드 4도어 키친핏 맥스 ▲비스포크 AI 인덕션 ▲비스포크 AI 콤보 등으로, 스마트 제어와 에너지 절감 기능이 탑재됐다.
특히 냉장고 스크린 ‘데일리 보드’는 일정·식단·날씨 정보를 통합 제공하고, ‘AI 비전 인사이드’는 식재료를 자동으로 관리한다. ‘오토 오픈 도어’ 기능을 통해 음성만으로 냉장고 문을 열 수 있어 주방 편의성을 높였다.
보안 기능도 강화됐다. 스마트 도어락과 도어벨이 스마트싱스와 연동돼 외출 시 자동 제어가 가능하며, 누수·연기 감지 시 가전과 스마트폰이 동시에 알림을 보내고 후드가 자동 작동한다. ‘맵뷰(Map View)’와 ‘빠른 리모컨(Quick Remote)’을 통해 모든 IoT 기기를 한눈에 제어할 수 있으며, 침실에서는 조명·에어컨 자동 조절과 수면 환경 분석 기능을 체험할 수 있다.
오주현 LH 공공주택본부장은 “AI 가전 분야를 선도하는 삼성전자와 협력해 미래 주거 트렌드를 선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양혜순 삼성전자 DA사업부 부사장은 “AI 홈 기반 모듈러 솔루션으로 사용자 중심의 혁신을 제공하고 차세대 주거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 경기신문 = 강혜림 수습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