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가 추적거리는 늦은 밤 점점 드세지는 개 짖는 소리 잠을 깼다. 몸도 무겁고 귀찮기도 해서 그러다 말겠지 하고 돌아눕는데 인적도 끊긴 밤 동네 온 동네 개들이 연달아 짖는 소리에 간간이 자신의 이름을 부르는 소리가 들리는 듯했다. 어둠속에서 자신의 이름을 부르는 사람은 어릴 적 고향을 떠난 친구였다. 예전의 모습은 간 데 없고 머뭇거리며 털어놓는 사정얘기에는 놀라움을 금할 수 없었다. 자신도 모르게 싸움에 말려들어 뜻밖에 살인을 해서 시체를 숨겨 도망을 왔다고 했다. 그러니 어렵겠지만 아무도 모르게 산에다 묻자는 말을 하는 친구는 금방 쓰러질 듯 보였다. 두 말 않고 친구를 방으로 데리고 들어왔다. 불빛에 보이는 친구의 얼굴은 초췌하기가 말이 아니었다. 반찬 없는 밥이나마 따끈한 국에 말아 한 술 뜨고 몸을 녹이도록 했다. 상을 물리고 앞장서서 일어서려는데 친구가 얘기나 하자고 했다. 친구는 살인을 한 적도 없고 가지고 온 것은 시체가 아니라 돼지를 한 마리 잡아 왔다고 했다. 현직에서 물러나 허송세월하며 병든 몸으로 누워있다 보니 그 동안 곁에 있던 사람도 발그림자도 없고 진정한 친구가 누구인가 여기저기 찾다 어린 시절 친구를 찾아왔다는 얘기였다. 그…
한국 사회를 뒤흔든 ‘성인지 감수성(性認知 感受性)’, 이게 무엇인가? 2월 1일 안희정 전 충남도지사를 법정 구속시킨 2심 판결문에 등장한다. 판결문은 나오자마자 논란에 휩싸였는데, 특히 성인지 감수성이라는 표현이 그랬다. 물증 없이도 ‘감수성’으로 유죄가 나올 수 있다는 것이다. 성인지 감수성(gender sensitivity)의 개념에 대한 합의된 정의는 아직 없지만, 대체로 성별 간의 차이로 인한 일상생활 속에서의 차별과 유·불리함 또는 불균형을 인지하는 것을 말한다. 넓게는 성평등 의식과 실천 의지 그리고 성 인지력까지의 성 인지적 관점을 모두 포함한다. 성인지 감수성은 성범죄 사건 등 관련 사건을 심리할 때 피해자가 처한 상황의 맥락과 눈높이에서 사건을 바라보고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개념은 2018년 4월 대법원 판결에서 등장하면서 화제를 모으기도 했는데, 당시 대법원 제2부는 학생을 성희롱했다는 이유로 징계를 받은 대학교수가 낸 해임 결정 취소소송 상고심에서 원고 승소 판결한 원심을 깨고 원고 패소 취지로 파기환송했다. 재판부는 이때 판결에서 “법원이 성희롱 관련 소송 심…
…
지난 1일부터 전국 대형 백화점·마트·쇼핑몰과 매장 크기 165㎡ 이상의 슈퍼마켓에서 1회용 비닐봉투 사용이 전면 금지되고 있다. 고객에게 1회용 비닐봉투를 줬다가 적발되면 위반 횟수에 따라 최대 300만원의 과태료를 물어야 한다. 예외는 있다. 물기가 있거나 액체가 흘러나올 수 있는 경우 등은 속 비닐로 포장해도 된다. 이를테면 생선이나 고기, 두부처럼 액체가 샐 수 있는 제품, 아이스크림처럼 내용물이 녹을 수 있는 제품, 또는 흙 묻은 채소가 여기에 해당된다. 현재 국내 비닐봉투 사용량은 약 211억 장(2015년 기준)이다. 관계기관은 이번 조처로 총 22억2천800만 장 정도 1회용 비닐봉투 사용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지난해 4월 중국이 폐비닐 수입을 금지했다. 이로 인해 우리나라에서 ‘쓰레기 대란’이 벌어졌다. 또 지난해 7월 필리핀에 수출된 6천500t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재활용이 불가능한 유해 폐기물이란 사실이 적발돼 국제적으로 나라망신을 시켰고 필리핀 국민들의 혐한감정을 불러 일으켰다. 필리핀에 불법 수출된 이 쓰레기는 올해 2월 평택항으로 돌아왔다. 이런 일들로 인해 국내 불법 폐기물 발생·처리 실태가 적나라하게 드러났다. 그동안…
정부가 예비타당성조사 제도 개편안을 내놨다. 비수도권 사업의 경우 경제성 비중을 30∼45%로 5%포인트 내리고, 지역균형발전 비중은 30∼40%로 5%포인트 올리는 것이 핵심 내용이다. 정책평가의 비중은 기존의 25∼40%를 유지하되 일자리, 환경, 생활여건 개선 등 사회적 가치의 항목을 신설했다. 예타제도는 김대중 정부 시절인 1999년 예산낭비 국책사업이 무분별하게 진행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도입됐다. 총사업비 500억 원 이상이고 정부의 재정지원 규모가 300억 원 이상인 사업이 대상이다. 그동안 예비타당성조사 제도는 공공투자사업(총사업비 500억원 또는 국고지원 300억원 이상인 건설, R&D, 정보화사업, 중기지출 500억원 이상인 복지 등 기타사업)의 타당성을 예산편성 전에 객관적으로 검증해 재정 부실화를 막는제도로 활용됐다. 실제로 지난 20년간 총 849개 조사대상 사업(386조3천억원) 중 불요불급한 300개 사업(35.3%, 154조1천억원)을 막아 재정효율화에 기여했다. 하지만 지방에서는 이 제도에 대한 문제 제기가 적지 않았다. 경제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사업의 경우 예타 통과가 상대적으로 어렵다는 점에서 공평하지 않다는 것
1998년 경기문화재단 선정으로 한국전통흑색 논문을 쓰다가 흑색을 비교하기 위해 일본 쿄토에 갔다. 이미 자연색이라 부르며 물감통에 넣어 염료점에서 파는 것을 보고 한국전통염색을 대중화 시켜야겠다고 결심했다. 그후 작품을 준비하여 2000년에 마로니에갤러리 개인전을 위해 실크에 그려 설치미술로 표현한 흑-Black project 180점을 가지고 다시 쿄토로 갔다. 전시장이 쉬는 날 엄청나게 큰 건물속에 들어 갔는데 그안에서 다양한 일본 음식을 맛보고 온갖 재료로 만들어진 일본 과자를 접했다. 근데 이게 왠일인가. 입구쪽에서 입장 티켓을 받는 것이 아닌가. 돌아보니 우리가 들어간 곳은 뒷문이라 입장 티켓을 요구 하지 않은 것이다. 나오면서 엄청난 입장 티켓 비용에 놀랐는데 그것이 쿄토 컨벤션센타였다. 가장 인상 깊었던 컨벤션센터는 홍콩아트바젤이 열리는 중국 구룡반도와 홍콩 침사추이를 마주보고 야경으로 유명한 빅토리아 하버에 있는 홍콩 완차이컨벤션 센타이다. 수백 건의 세계적인 회의, 지역 컨퍼런스, 미팅과 세미나가 매년 바로 이곳 홍콩 컨벤션&전시센터(Hong Kong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re; HKCEC)에서 열리고
최근 경기도의회 일부 의원들이 초·중·고교가 보유하고 있는 물품 중 일본 ‘전범기업’ 제품에 스티커를 붙이는 조례안을 발의했다. 도저히 이해가 되지 않는 발상이며 과연 이들이 정상적인 상식을 가진 사람들인가 하는 의문을 떨칠 수가 없다. 필자가 이렇게 생각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정법상 가능하지 않다. 한국은 WTO 가입국으로서 자유무역과 투자를 허용한다. 정당한 법적 절차를 통해 세금도 꼬박꼬박 내며 제품을 수출하고 국내에 공장을 설립한 기업들을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이런 제재를 가할 수 없다. 둘째, 초·중·고 학생들에게 일본에 대한 증오심을 키워서 그들의 교육과 정서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초연결 네트워크를 특징으로 하는 4차산업혁명과 다문화 시대의 바람직한 인재가 갖춰야 할 덕목은 글로벌리즘과 휴머니즘이지 민족주의가 아니다. 셋째, 일본이 반대보복으로 일본에 진출한 한국기업과 한국 수출품에 대해 불이익을 준다거나 일본 관광객의 한국방문이 급격히 줄어든다면 한국 경제에 막대한 손실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가뜩이나 금년이 3·1운동 및 상해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이 되는 해라서 일제의 잔혹성을 표현한 영화와 방송 프로그램이 계속 상
스페인 ‘산티아고 데콤포스텔라’는 예수의 열두제자 중 한명인 야고보의 무덤이 있는 곳이다. 예루살렘에서 이곳을 향해 9세기부터 순례가 유행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이때부터 지금의 ‘산티아고 가는 길(카미노 데 산티아고)’이 만들어 지기 시작했다. 길이는 프랑스의 국경 도시 생 장 피드포르에서 부터 약 803㎞다. 우리나라에도 산티아고 순례길에서 얻은 아이디어로 시작한 길이 여럿 있다. 대표적인 것이 2012년 완성된 ‘제주 올레길’, 그리고 한반도 남단의 4면을 에워싸는 4500㎞의 ‘코리아 둘레길’ 등등. 이런 가운데 지난해 남북 정상회담이후 정부가 DMZ를 따라 한반도를 횡단하는 도보여행 길을 만들겠다는 계획을 밝히기도 했다. 오는 2022년까지 국비 200억 원, 지방비 86억 원 등 총 286억 원을 투입해 인천 강화군에서 강원도 고성군까지 456㎞에 달하는 DMZ 길을 만들겠다는 것이 주요 내용이었다. 그 첫 사업으로 비무장지대(DMZ) 내부를 걸을 수 있는 이른바 ‘평화안보 체험길(가칭·평화둘레길)’을 조성해 이달 말부터 개방한다. 정전 협정 이후 처음으로 DMZ가 민간에 개방되는 것이다. 이 계획에 따르면 해당 지역은 고성 동부, 철원 중부, 파주
남북조시대에는 불교가 흥성하였으며 당시 많은 인도의 승려들이 중국으로 도래했다. 양나라 무제 시절 남인도 향지왕(香至王)의 셋째 왕자인 달마도 광동지방을 거쳐 양나라의 수도인 건업을 지나 북위의 영토인 숭산(嵩山) 소림사(少林寺)에 머무른다. 그때부터 달마는 토굴에서 죽을 때까지 꼬박 9년 동안 벽을 마주보고 앉아 말 한 마디 없이 수행했다고 한다. 면벽이좌(面壁而坐) 종일묵연(終日默然) 자기 마음을 바로 보아 그 근본을 찾으려고 벽을 향해 오랫동안 홀로 좌선을 하는 것과 부지런히 연구하여 학문의 조예가 깊어지도록 하는 말로 뜻하는 바가 폭 넓다. 면벽공심(面壁攻深) 면벽수양(面壁修養)이라고도 하는데, 나아가 ‘할 일 없이 벽을 마주하고 앉아 있다’거나 ‘어처구니가 없어 벽을 마주하고 앉아 있다’는 뜻으로도 쓰이게 됐다. 선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가장 필요한 용어의 이해가 바로 벽관이라고 할 수 있다. 벽관은 달마대사로부터 시작되는 선사상의 핵심요체라 할 수있으며 그것을 어떻게 이해하느냐에 따라 선의 방향이 결정된다고도 한다. 송대의 종감(宗鑑)이 저술한 ‘석문정통(釋門正統)’에 의하면 벽관은 이렇게 설명되고 있다. 이와같이 마음을 안정(如是安心)함이란 벽관을
지난달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자녀 출산실태와 정책 함의’ 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15∼49세 기혼여성의 자녀 출산실태를 조사한 결과 국내 기혼 여성 중 절반이 경제적 부담으로 출산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또한 현재 배우자가 있는 유배우 여성의 향후 출산 계획은 ‘계획 없음’(84.8%)이 대부분이었다. ‘계획 있음’은 10.4%, ‘모르겠음’은 4.8%였다. 앞으로 출산 계획이 없는 유배우 여성의 출산중단 이유로는 ‘자녀교육비 부담’(16.8%), ‘자녀양육비 부담’(14.2%), ‘소득·고용 불안정’(7.9%), ‘일·가정 양립 곤란’(6.9%), ‘자녀 양육을 위한 주택마련 곤란’(1.3%) 등이었으며 이처럼 경제적 이유가 응답의 비율이 47.1%로 거의 절반에 달했다. 또한, 지난달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