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김연숙이 전한 문학의 힘 ‘박경리의 말’
‘이 말이 내게로 스며들었다, 살아갈 힘을 얻었다’ ‘박경리의 말’은 지난 2018년 ‘토지’ 읽기의 진수를 선보여 독자들 사이에서 입소문이 퍼진 ‘나, 참 쓸모 있는 인간’의 저자 김연숙(후마니타스 칼리지 교수)의 새로운 인문 에세이다. 저자는 경희대 후마니타스 칼리지 출범 직후인 2012년부터 현재까지 ‘고전 읽기’ 강의를 통해 학생들과 ‘토지’를 읽어오고 있으며 “고전, 특히 문학이 우리의 삶을 가치있게 이끌어 갈 힘을 지녔다고 믿는다”라고 말한다. 저자 김연숙은 “‘토지’의 말과 박경리 선생의 말을 모으고 싶었다”며 “차곡차곡 쌓아온 말들을 꺼내놓으니 뛰어난 문장이나 아름다운 표현과는 뭔가 달랐다”고 밝혔다. 그 이유에 대해 “온몸이 부서지는 아픔을 겨우 견디며 내뱉는 말, 실 한 오라기 같은 기쁨을 잡으려는 말, 칠흑 같은 어둠을 버티며 안간힘 쓰는 말, 그래서 애달프고 간절한 말들이었다”고 소개했다. 1장의 첫 장을 펴면 ‘살았다는 것, 세상을 살았다는 것은 무엇일까? 내게는 살았다는 흔적이 없다. 그냥 그날이 있었을 뿐, 잘 견디어내는 것은 오로지 권태뿐이야’라는 박경리 작가의 말이 그 의미를 전한다. ‘박경리의 말’은 1장 ‘나에게 스며드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