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필하모닉오케스트라가 오는 21일 부천시민회관 대공연장에서 제302회 정기연주회로 에두아르 랄로 탄생 200주년 기념 ‘랄로와 라벨’을 개최한다. 장윤성 상임지휘자가 지휘를 맡고 바이올리니스트 김응수가 협연하는 이번 공연은 프랑스와 스페인 사이 이국적 풍경으로 관객을 초대한다. 1부는 화려하면서도 신비한 분위기가 풍기는 생상스의 ‘바카날레’로 시작한다. 바카날레는 오페라 ‘삼손과 데릴라’ 3막 중 이스라엘의 적인 블레셋 사람들이 승리를 축하하는 장면에서 나오는 기악곡이다. 블레셋 축제의 향락적인 분위기를 잘 포착한 이 곡은 탬버린, 캐스터네츠 등 타악기와 함께 하프와 현을 사용하여 풍성하고 감각적인 소리를 만들어낸다. 화려한 오케스트레이션, 이국적인 악기가 등장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어 바이올리니스트 김응수가 에두아르 랄로의 ‘스페인 교향곡’을 들려준다. 이 곡은 스페인계 프랑스인인 에두아르 랄로가 1874년 작곡했다. 스페인과 프랑스의 음악적 요소가 결합된 바이올린과 관현악을 위한 5악장 작품이다. 협주곡에서는 잘 쓰이지 않는 트라이앵글과 작은 북이 나오는 등 교향곡도 협주곡도 아닌 색다른 재미를 가진 곡이다. 활기찬 춤곡풍의 주제로 시작해, 바이올린의
수원시립교향악단이 2023년 새해를 맞아 오는 19일 수원SK아트리움 대공연장에서 ‘2023 신년음악회’를 개최한다. 이번 신년음악회는 명화, 미디어아트 영상과 클래식 음악을 접목시켜 관객들의 눈과 귀를 즐겁게 하는 새로운 기획 공연으로 꾸며진다. 수원시립미술관 이채영 학예사의 자문과 추천을 받아 인상주의 미술을 대표하는 화가 조르주 쇠라, 클로드 모네, 빈센트 반 고흐, 카미유 피사로의 미술 작품들을 연결해 세계적인 명화와 클래식 음악을 함께 감상할 수 있도록 준비했다. 수원시향 예술감독 최희준 상임지휘자가 지휘봉을 잡고, 소프라노 이혜진, 테너 존 노가 함께 한다. 먼저, 러시아 작곡가 프로코피예프의 교향곡 1번, ‘고전적’으로 공연은 시작된다. 이 곡은 하이든, 모차르트 시대의 고전적인 형식에 프로코피예프만의 독창적인 리듬과 화성을 융합해 현대적으로 풀어낸 곡이다. 오늘날 신고전주의의 문을 열었다고 평가받고 있다. 이어지는 무대는 프랑스 인상주의 음악을 대표하는 작곡가 라벨의 볼레로가 연주된다. 볼레로는 원래 스페인의 18세기 민속 춤곡이지만, 라벨의 볼레로는 스페인의 이국적인 느낌이 담긴 새로운 관현악 곡으로 완성됐다. 2부에는 2017년, 독일 쾰른
마치 행위예술을 보는 듯한 무대에서는 희로애락이 느껴지는 선율이 울려 퍼졌다. 피아니스트 조성진의 등장 때 한 번, 연주가 끝나고 또 한 번 우레와 같은 박수가 쏟아지는 명장면이 펼쳐졌다. 지난 12일 오후 4시 경기아트센터 대극장에서는 한국지역난방공사와 함께하는 조성진 피아노 리사이틀 공연이 열렸다. 지난해 11월 이후 약 9개월 만에 경기아트센터를 다시 찾은 조성진의 연주를 즐기기 위해 수많은 관람객이 찾았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아니었다면 1500석 규모의 대극장을 가득 채웠을 듯싶었다. 조성진은 이번 무대에서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걸작을 소개하고자 1부에서는 야나체크의 ‘피아노 소나타’와 라벨의 ‘밤의 가스파르’를 연주했다. 공연의 문을 연 작곡가 레오시 야나체크의 ‘피아노 소나타’는 피아니시시모에서 포르테시시모까지 악상의 범위가 매우 넓은 곡으로 조성진의 다이나믹한 스타일이 돋보였다. 야나체크는 1905년에 지역의 중심도시 브르노에서 일어난 비극적 사건을 음악으로 묘사했다. 노래의 토대가 된 사건은 브르노에 대학을 설립하기 위해 집회를 갖던 체코 사람들을 당시 이 지역을 식민지로 지배하던 합스부르크 왕가의 독일인들이 무력으로 진압하는 과정에서 일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