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파리 하계 패럴림픽에 출전한 대한민국 선수단이 첫 2관왕을 배출하며 목표 달성을 눈 앞에 뒀다. 한국은 3일 프랑스 사토루 슈팅센터에서 열린 제17회 파리 패럴림픽 사격 R7 남자 50m 소총 3자세(스포츠등급 SH1) 결선에서 박진호(강원 강릉시청)이 슬사 150.0점, 복사 154.4점, 입사 150.2점 등 합계 454.6점을 기록하며 중국의 둥차오(451.8점)를 제치고 우승했다. 지난 달 31일 사격 R1 남자 10m 공기소총 입사(스포츠등급 SH1)에서 금빛 총성을 울렸던 박진호는 한국 선수단 처음으로 2관왕을 차지했다. 박진호는 결선에서 2016 리우데자네이루 패럴림픽에서 세르비아 라슬로 슈란지가 세웠던 기존 패럴림픽 결선 기록(453.7점)을 갈아치웠고, 본선에선 1천200점 만점에 1천179점(슬사 392점, 복사 394점, 입사 393점)을 쏴 2020 도쿄 패럴림픽에서 주성철이 세운 패럴림픽 본선 기록(1천173점)을 깼다. 박진호의 금메달 추가로 한국은 금 4개, 은 7개, 동메달 8개 등 총 19개의 메달로 종합 14위를 유지했다. 효자종목 탁구에서는 메달 5개를 확보했다. 탁구 남자 단식 장영진(서울시청)과 차수용(대구광역시
한국 장애인 국가대표 선수단이 제17회 파리 하계 패럴림픽에서 연일 메달 획득에 성공하며 종합 14위에 올랐다. 한국은 1일 프랑스 샤토루 슈팅센터에서 열린 대회 4일째 사격 R1 남자 10m 공기소총 입사(스포츠등급 SH1) 결선에서 박진호(강원 강릉시청)가 249.4점을 쏴 예르킨 가바소프(카자흐스탄·247.7점)를 제치고 우승을 차지했다. 박진호는 16번째 발까지 5위에 머물렀으나 이후 무서운 집중력으로 추격전에 나선 끝에 결국 금메달을 땄다. 세계랭킹 1위 박진호는 2016 리우데자네이루 대회에서 노메달에 그쳤지만 2020 도쿄 대회에서 은메달과 동메달을 획득했고 이번 대회에서 정상에 오르며 세번째 도전 만에 금빛총성을 울렸다. 또 사우스 파리 아레나에서 열린 탁구 남자복식(스포츠등급 MD4) 결승에서는 장영진(서울특별시청)-박성주(토요타코리아) 조가 피터 로바스-얀 리아포스 조(슬로바키아)에게 게임 점수 1-3(10-12, 11-7, 7-11, 8-11)으로 아쉽게 패해 은메달을 획득했다. 여자 복식(스포츠등급 WD10)에서는 문성혜(성남시청)-정영아(서울특별시청) 조와 강외정(경남장애인체육회)-이미규(경북장애인체육회) 조가 준결승에서 나란히 패해
대한민국 장애인 사격 대표팀 박진호(44·청주시청)가 10m 공기소총 복사에서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박진호는 1일 일본 도쿄 아사카 사격장에서 열린 혼성 10m 공기소총 복사(SH1) 결선에서 253.0점을 쏴 독일의 나타샤 힐트로프(29·253.1점)에 이어 은메달을 획득했다. 이번 경기에선 단 0.1점으로 메달의 주인공이 갈렸다. 박진호는 지난달 30일 열린 남자 10m 공기소총 입사에서 동메달을 획득한데 이어 은메달까지 추가하며 2개의 메달을 따냈다. 예선에서 638.9점을 쏴 패럴림픽 예선 최고 기록을 새롭게 쓰며 47명 중 1위로 결선에 오른 그는 첫 10발에서 106.3점을 쏘며 2위에 올랐다. 11, 12번째 총알을 합쳐 21.0을 쏴 선두에 오른 박진호는 이후 좋은 흐름을 이어가며 자리를 지켰다. 19번째 총알에서 10.1을 기록하며 잠시 선두를 내줬지만, 곧바로 10.5를 쏘며 다시 1위를 차지했다. 그렇게 줄곧 선두를 달리던 그는 22번째에서 9.6을 맞추며 선두를 힐트로프에게 내줬고, 나머지 두 발에서도 힐트로프가 1위 자리를 지키며 우승했다. 한편, 박진호는 3일 50m 소총 3자세와 5일 50m 소총 복사에서 추가 메달 사냥에 나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