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콘텐츠 플랫폼 예스24가 뮤지컬 ‘베르테르’ 25주년 공연을 기념해 전관 행사 YES24DAY를 진행한다. 전관 행사는 공연장 전체를 빌려 진행하는 문화행사를 뜻한다. 이번 YES24DAY는 조승우, 엄기준, 김소현 등 국내 유수의 배우들이 거쳐간 대한민국 대표 창작 뮤지컬 ‘베르테르’의 25주년을 기념해 기획됐다. 전관행사는 2월 16일 오후 2시와 6시 30분에 총 2회에 걸쳐 개최된다. 예매는 예스24 티켓 누리집을 통해 할 수 있다. 뮤지컬 ‘베르테르’는 괴테의 대표작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을 무대로 옮긴 작품으로, 5년 만에 25주년 기념 공연으로 돌아왔다. 베르테르 역에 엄기준, 롯데 역으로 전미도, 이지혜가 출연하며 양요섭과 김민석, 류인아 등이 새로운 캐스트로 합류했다. YES24DAY로 진행되는 이번 행사에는 YES24DAY 특별 기프트와 후기 이벤트도 준비돼 있다. 예스24 티켓사업팀 김상균 팀장은 “오랜 시간 동안 국내 뮤지컬 관객들의 큰 사랑을 받아온 ‘베르테르’를 YES24DAY로 선보일 수 있게 되어 기쁘다”라며 “2025년 한 해도 다채로운 공연을 YES24DAY로 준비 중이니 많은 기대 바란다”라고 말했다. 한편, 예스24는
총을 쏘는 시늉을 하며 내는 소리 ‘빵야’. ‘빵야’라는 이름을 가진 소총이 풀어놓는 한국 근현대사는 100년의 시간을 지나 수많은 개인을 소환한다. 일제 강점기 일본 앞잡이였던 기무라, 그에게 끌려가 사랑하는 사람을 쏘게 된 길남, 독립군 강포수의 딸이었던 선녀, 인민군 아미, 배고픔에 군인이 된 무근, 돌격대 설화 등은 전쟁과 이념 앞에 스러져간 개인이었다. 서울 대학로 예스24 아트원 1관에서 연극 ‘빵야’가 관객들을 만나고 있다. 지난해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산실 올해의 신작’으로 선정돼 초연했고, 올해 재연이다. 제61회 K-Theater Awards 대상, 월간 한국연극 선정 ‘2023 공연 베스트7’에 올랐다. 텔레비전 편성 불발로 5년째 글을 쓰고 있는 작가 ‘나나’는 영화소품창고에서 99구경 장총을 보고, 영감을 얻어 새로운 이야기를 쓴다. ‘빵야’는 인명살상 무기인 장총을 의인화 해 여러 사람의 손을 거쳐 총으로서 누군가를 죽여야 하는 운명에 고통스러워한다. 일본군 장교의 손에서 먼저 삶을 시작한 ‘빵야’는 여러 주인을 만난다. 독립군, 인민군, 빨치산 돌격대, 서북청년단 등을 거치면서 빵야는 누구의 편도 아닌 그저 누구의 손에 들
“나의 의무는 사실을 말하는 것이며, 저는 역사의 공범자가 되고 싶지 않습니다. 진실을 말하지 않는다면 앞으로 내가 보낼 밤들은 가장 잔혹한 고문으로 저지르지도 않은 죄를 속죄하고 있는 저 무고한 이의 유령에게 시달리는 밤이 될 겁니다”(나는 고발한다 원문 中) 프랑스의 작가이자 언론인 ‘에밀 졸라’가 프랑스 육군 포병 대위 ‘알프레드 드레퓌스’의 무죄를 주장하며 프랑스 ‘로로르(L'Aurore)’지에 ‘공화국 대통령 펠릭스씨에게 보내는 편지’라는 글을 기고하며 한 말이다. 이 글은 ‘로로르’ 편집장에 의해 ‘나는 고발한다...!’라는 제목으로 신문 1면에 게재돼 프랑스 군의 반유대주의, 부당한 구속수사를 비판했다. 서울 대학로 예스24 스테이지 3관에서 ‘에밀 졸라’에 대한 뮤지컬이 관객들을 만나고 있다. 1894년 군사기밀을 독일로 유출한 혐의로 누명을 쓴 육군 포병 대위 ‘알프레드 드레퓌스’의 무죄를 주장한 ‘에밀 졸라’의 삶을 그린 작품이다. 자신의 모든 것을 건 ‘드레퓌스 사건’으로 생명의 위협을 받아왔던 에밀졸라. 결국 1902년 의문의 가스중독으로 비극적인 죽음을 맞게 되면서 ‘에밀 졸라’가 죽기 전날 밤 벌어진 일들에 대해 작가의 상상을 더해
범죄의 충격으로 사라지고 잊혀진 존재들을 드러내고 직시하는 뮤지컬이 관객들을 만나고 있다. 스포트라이트가 범죄자에게 집중되는 반면 그 이면엔 절대 잊지 말아야 할 피해자와 가족들이 있다. 뮤지컬 ‘이프아이월유’는 피해자들을 조명하며 ‘정의란 무엇이며 죄의 무게는 누가 정하는가’를 묻는다. 뮤지컬 ‘이프아이월유’는 제4회 KT&G 상상마당 공간지원사업 ‘퍼포먼스 챌린지’ 선정작으로 창작 초연이다. 뮤지컬 ‘테레즈 라캥’과 ‘머더러’를 함께 제작한 정찬수 작가 겸 연출, 한혜신 작곡가가 다시 한 번 만났다. 극은 1945년 10월 경성을 배경으로 소설가 수현과 문하생 인호의 이야기를 그린다. 수현은 살인사건을 모티브로 11권의 소설을 쓴 베스트셀러 작가이고, 인호는 기자 출신 작가 지망생으로 수현과 같은 작가가 되고 싶다며 수현을 찾는다. 사실 수현이 쓴 소설 속 주인공의 형이었던 인호는 동생의 죽음이 수현의 짓일 것이라고 생각하고 그의 자백을 받아내려 수현을 속인다. 인호의 의도를 간파한 수현은 12번 째 소설의 주인공을 인호로 삼고 그를 위협한다. 수현이 생각한 열 두 번째 소설은 ‘자신의 동생을 죽인 형’의 이야기다. 제목 ‘이프아이월유(If I W
“야, 나는 맨 처음에 이 집이 들어왔을 때 ‘무슨 골동품 모으는 집인가’하고 잠깐 설렜어. 근데 이게 다 모으는 게 아니라 쓰는 거네. 내가 언제 한 번 괜찮은 거 건지면 보내줄게” 집주인이 곤란할까봐 손목에 밧줄 자국이 남지 않게 조심히 결박하고, 목이 마르다고 하면 물까지 먹여주는 ‘서툰’ 도둑이 있다. 예기치 않게 찾아온 밤손님에 잠깐 상식적(?)으로만 무서워하더니 이내 쫑알쫑알 자신의 할 말을 다하며 원활한 도둑질을 돕는 ‘서툰’ 집주인도 있다. 장진 연출의 연극 ‘서툰 사람들’이 10년 만에 돌아왔다. 작품은 장진 연출이 23살 때 완성한 극으로 1995년 서울연극제 출품작으로 초연했다. 20대 중반이던 그를 연극계 스타로 만든 작품이다. 지난 2007년, 2012년 장진 연출로 전회, 전석 매진을 기록하며 장진식 유머 코드의 진수라는 평을 받았다. 지난 1일 프레스콜 현장에서 장진 연출은 “내년 겨울쯤이면 이 작품을 쓴지 정확히 30년이 돼 감회가 새롭다”며 “처음 이 작품을 연출했을 때보다 지금 공연이 더 긴장됐던 것 같다”고 말했다. ‘서툰 사람들’은 도둑에 대한 직업의식이 투철하지만 어설픈 도둑 ‘장덕배’(이지훈·오문강·임모윤)와 집에 훔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