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령(양주 회천중)이 제39회 대한볼링협회장배 전국남녀학생볼링대회 개인전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이화령은 7일 천안 비앤비볼링장에서 벌어진 대회 여자 15세 이하부 개인전에서 4게임 합계 826점(평균 206.5점)을 마크하며 조나경(드래곤볼스포츠·825점)을 1핀 차로 따돌리고 정상에 올랐다. 3위는 채은지(광주 우산중·793점)가 차지했다. 1게임에서 243점을 기록하며 66명의 참가자 중 가장 높은 점수를 획득한 이화령은 2게임과 3게임서 각각 188점, 177점으로 흔들렸다. 그러나 마지막까지 집중력을 잃지 않으면서 시상대 가장 높은 곳에 올랐다. [ 경기신문 = 유창현 기자 ]
한국건강관리협회는 지난 1월 29일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과 보건의료분야의 혁신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대의대 회의실에서 진행된 이번 협약식에는 건협 이은희 사무총장, 이대의대 하은희 학장 및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건협에서 추진 중인 공유실험실의 연구 장비 인프라를 확장시키고, 국제협력사업의 활성화 및 글로벌 인재 양성을 위해 다각적으로 협력하기로 했다. 이은희 한국건강관리협회 사무총장은 “건협과 이대의대가 이번 협약을 계기로 보건의료분야의 새로운 지평을 열기 위한 상호 협력의 길을 걷게 됐다”며 “이대의대를 중심으로 한 마곡 바이오클러스터 합류로 약 50개 제약·바이오기업과의 활발한 교류를 통한 시너지 창출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고륜형 기자 ]
“나라에 바칠 목숨이 오직 하나밖에 없는 것만이 이 소녀의 유일한 슬픔입니다.” 19세 나이로 세상을 떠난 독립운동가 유관순 열사의 순국 101주기를 맞았다. 1902년 12월 16일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태어난 유관순은 1919년 4월 1일 아우내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하다가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됐다. 당시 그의 나이 만 열여덟. 앞서 3월 1일 3·1운동을 시작으로 이화학당 친구들과 서울 학생단 시위운동에 참여했다가 경무총감부에 붙잡혔다 풀려나기도 했다. 4월 1일 아버지 유중권, 어머니 이소제 등과 함께 시위를 주도한 유관순은 그해 5월 9일 공주법원에서 5년형을 받았다. 그와 아우내 만세 주역들은 6월 경성복심법원에 항소했으며, 이후 서대문 감옥에 수감됐다. 옥중에서도 독립만세를 부르고 동료들을 격려하며 뜻을 굽히지 않았던 그는, 그렇게 조국의 자주독립을 외치면서 1920년 3월 1일 오후 2시 옥중 만세시위를 이끌기도 했다. 그리고 같은 해 9월 28일 모진 고문에 의한 방광 파열로 서대문 감옥에서 순국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사진 속 유관순 열사는 고문으로 인해 콧방울이 주저앉고 퉁퉁 부은 얼굴로 수감번호 371번이 선명히 찍힌 수의를 입은 모습이다
◆이화(李花)/유재원 지음/스타북스/272쪽/값 1만3500원 ‘나라를 팔아먹은 자와 나라를 지키려는 자가 누구인가’ 저자 유재원의 ‘이화(李花)’는 조선왕조와 대한제국, 망국에 이르는 실패한 근현대사에서 대한민국의 가장 위대한 성공의 역사를 배우는 소중한 역사소설이다. 제목에서 유추해볼 수 있듯이 이화는 ‘오얏꽃’을 뜻하며 조선왕조와 대한제국 나라꽃이다. 국장(國章)이며, 모든 관복과 휘장에 문양으로 사용됐다. 따라서 조선왕조와 대한제국이라는 나라, 그 나라에 종사하는 관리들을 상징하며, 그중에서 많은 등장인물들이 조선왕조의 집권세력인 오얏이씨이므로, 그들을 배신하는 상징물이자 비국의 생애를 오얏꽃으로 표현해낸 것이다. 이 소설에는 친로파, 친청파, 친미파, 친일파 등의 가면을 쓰고 대원군, 고종황제, 이토히로부미, 이홍장, 명성황후, 순종, 이완용 등 숱한 시대의 인물들이 등장하지만 저자는 모든 인물들의 동선을 따라가면서도 섣부른 의견을 내놓지 않는다. 마치 다큐멘터리를 찍듯이 벌어지는 사건과 관련된 인물들의 행적을 ‘있었던 그대로’ 보여준다. 이는 “역사는 작가의 편견이 아니라 진실이 중요하고, 이를 읽고 받아들이는 독자의 판단이 더 중요하다”는 저자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