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재활의학과 김준성 교수와 최혜훈 전공의가 최근 열린 ‘Asian Spinal Cord Network International Conference(ASCoN) 2020’에서 우수 포스터 연제상을 수상했다. 이번 수상은 ‘척수손상환자에서 손상 기간과 골다공증과의 관계(Correlation between duration from injury and bone mineral density in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에 대한 연구가 그 우수성과 성과를 인정받아 이뤄졌다. 연구팀에 따르면 척수 손상환자에서 골다공증은 척수가 손상된 후 빠른 시간 내에 발생하며, 이 골다공증은 골절을 일으키는 원인이 돼 건강상 심각한 문제를 유발한다. 이에 83명의 척수손상환자에서 척추 및 대퇴의 골밀도 검사를 시행, 이를 토대로 손상 기간과 골밀도 관계를 분석해 대퇴 골밀도 검사의 중요성을 밝혀냈다. 김준성 교수는 “연구 결과 척수 손상 환자의 손상 기간이 길수록 골밀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척추에서 측정한 골밀도 검사는 척추 변형 등의 영향으로 정확한 측정이 어렵다는 한계점이 있어, 대퇴에서 측정한 골밀도 검사를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와 공공의대 설립 정책에 반대해 무기한 파업을 이어가고 있는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가 파업을 지속하기로 결정했다. 대전협은 지난 29일 오후 10시부터 30일 오전까지 밤샘 회의 끝에 파업 지속 여부를 투표에 부쳤다. 결과 전공의 중 과반수 이상이 무기한 총파업을 선택하며 파업을 지속하기로 결정했다. 앞서 대전협은 1차 투표에서 193명 중 96명이 파업 지속을 선택해 과번 정족수 97명을 채우지 못했다. 이에 대전협은 단체행동 진행과 중단 여부에 관한 결정을 박지현 비대위원장에게 위임하기로 의결 한 뒤 재투표를 실시했다. 재투표를 통해 134명이 파업 강행을 선택, 중단 39명, 기권 13명으로 무기한 파업을 지속하기로 결정됐다. 정부는 전날 파업 유보와 정부 정책 원점 재논의를 제안했지만, 대전협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결국 의료계와 정부의 줄다리기가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이러한 결정에 정부는 입장문을 내 즉각 유감을 표명했다. 정부가 수차례에 걸쳐 모든 가능성을 열고 대화를 해 나가자 제안했지만 전공의들이 이를 거부하고 파업을 지속하기로 결정했다는 것이다. 지난 28일 국회 한정애 보건복지위원장이 전공의협의회가 정부를 신뢰
오는 28일까지 사흘간 전공의 대부분이 참여한 2차 총파업에 나선 26일 파업에 동참해 문이 닫힌 일부 개인병원 앞에서는 당장 치료와 약 처방이 시급한 노인들이 위험에 노출되고 있었다. 이날 오전 9시쯤 수원시 영통구에 있는 한 의원 입구에는 ‘26~28일까지 휴진합니다’라는 문구가 붙은 채로 문이 굳게 닫혀 있었다. 이곳을 방문한 A(74·화성)씨는 “집 근처에 병원이 없어 자전거를 타고 20분이나 달려왔다”며 “어제부터 계속 설사해 기운이 하나도 없어 일일이 병원을 찾아다닐 수 없는데 어떡하면 좋냐”고 허탈해했다. 그는 이어 “한 곳만 더 가보고 안 열었으면 그냥 집에 가는 수밖에 없다”며 발길을 돌렸다. 비슷한 시각 같은 의원을 방문한 B(72·용인)씨는 “아이고 30분이나 걸어왔는데, 문 닫았네”라며 탄식했다. 그는 닫힌 병원문을 멍하니 쳐다보며 “아침에 뉴스를 보고 의사들이 파업한다는 건 알았지만, 작은 병원들은 괜찮을 줄 알고 왔다”면서 “혈압약과 당뇨약, 고지혈증약이 다 떨어졌는데 큰일났다”고 난감해했다. 할 수 없이 발길을 돌려야만 했던 시민들은 의사 파업에 대해 난색을 표하기도 했다. A씨는 “시민 입장에서는 안타깝다”며 “우리가 다 피해를
전공의 파업으로 진료 공백이 생길 것이라는 우려와 달리 각 대학병원은 무리 없이 진료를 소화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전공의 파업 당일인 7일, 분당 서울대학교병원을 비롯한 각 대학병원은 교수와 펠로우들이 대체해 진료에는 차질이 없었다. 분당서울대병원 교수 A 씨는 “미리 대비를 해놔서 (전공의 부재로 인한) 차질은 없다”고 했다. 같은 병원 의사 B 씨와 C 씨도 현재 파악되는 진료공백은 없다며 정상적인 의료서비스 제공을 자신했다. 환자들도 큰 불편함 없이 진료를 받았다. 성빈센트병원에 외래진료를 받으러 온 D 씨는 “방금 진료를 받고 나왔다”며 “예약시간에 맞춰 진행돼 대기인원이 몰려 늦어지는 일은 없었다”고 했다. 하지만 전공의 파업에 불안해하는 환자도 있었다. 아주대학교병원에서 입원중인 이모(32)씨는 “어제 무릎 연골 수술을 받았다. 아침마다 매번 교수와 레지던트가 함께 방문했다”며 “오늘은 교수 없이 펠로우만 혼자와 소독을 해주었다. 불편함은 없었지만 (전공의) 파업 때문에 불안한 마음은 있다”고 말했다. 아주대학교병원 관계자는 “대체근무로 진료에 차질없이 대응한다는 방침을 세웠다”며 “교수와 연구강사들이 투입돼 의료공백을 최소화했다”고 밝혔다. 한편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6일 대국민담화를 통해 파업 등 집단행동을 예고한 의료계에 재차 대화와 협의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자고 요청했다. 박 장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의료계 집단휴진 관련 국민 및 의료인께 드리는 말씀'을 통해 “정부는 앞으로 대화와 소통을 통해 의료 현장의 문제들을 해결하고, 우리 보건의료 제도를 한층 더 발전시켜 나갈 것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이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라는 엄중한 상황에서 일부 의료단체 등이 집단휴진이나 집단행동을 논의하는 것은 국민의 안전에 위해를 야기할 수 있다”며 “어떤 경우에도 국민의 건강과 안전이 위협받아서는 안 된다”고 덧붙였다. 최근 정부가 2022학년도부터 의대 입학 정원을 늘려 10년간 4000명의 의사를 추가 양성하는 방안을 발표한 데 대해 의료계는 강력히 반발하면서 오는 7일 전공의 파업, 14일 개원의 위주의 대한의사협회(의협) 총파업을 예고한 상태다. 박 장관은 “의대 정원 확대 방안은 국민과 국가를 위해 불가피한 결정이라는 점을 이해해 달라”면서 “이 정책을 추진하게 된 가장 큰 목적은 필요한 곳에 필요한 의사를 확보하는 것이다. 우선적으로는 지방의 의사를 확충하여 시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