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유현(용인대)이 2025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 남자 68㎏급에서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성유현은 28일 중국 장쑤성 우시의 타이후 인터내셔널 엑스포 센터에서 열린 대회 5일째 남자 68㎏급 결승에서 태국의 툽팀당 반룽에게 0-2로 패해 준우승 했다. 툽팀당은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금메달리스트이자 현재 이 체급 세계랭킹 1위다. 성유현은 국가대표 최종 선발전에서 예상을 깨고 남자 68㎏급 우승을 차지해 이번 세계선수권대회에 나섰다. 국가대표 데뷔전을 세계선수권대회에서 치른 성유현은 8강에서 세계랭킹 3위 테오 뤼시앵(프랑스)을 2-0으로 제압했고, 준결승에서는 마이콜 로드리게스(미국)를 2-1로 눌렀다. 강호들을 잇따라 꺾고 결승에 안착한 그는 세계랭킹 1위의 벽을 넘지 못했다. 성유현은 "첫 국가대표이고, 세계랭킹이나 세계대회 전력도 없는 데다 경험이 부족해서 더 열심히 준비했다"며 "1등을 목표로 하고 왔는데 많이 아쉽다"라고 전했다. 한편 한국은 이날까지 남자부에서 금 5개, 은 1개, 동메달 2개를 수확하며 5회 연속 세계선수권대회 종합우승에 한 걸음 더 다가섰다. 여자부에서는 은메달 1개를 획득하는 데 머물렀다. [ 경기신문 = 유창현 기자 ]
경기도가 '제106회 전국체육대회'에서 7년 만에 태권도 종목우승을 차지했다. 도는 19일 부산시 강서체육공원 실내체육관에서 열린 대회 종목 마지막 날 1853점(금 10·은 9·동 3)을 기록하며 우승 트로피를 획득했다. 2위는 부산시(1710점), 3위는 서울시(1706점)다. 도가 전국체전 태권도에서 종목우승을 거둔 것은 2018년 제99회 대회 이후 7년 만이다. 도 태권도는 금메달 10개를 수확했다. 남자대학부 87㎏급에서는 김우진(경희대)이 패권을 안았고, 여대부 73㎏급에서는 오승주(경희대)가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밖에 남일부 68㎏급 결승에서는 진호준(수원시청)이 대구의 이기범(한국가스공사)을 2-0으로 꺾고 시상대 가장 높은 곳에 올랐다. 또 남일부 80㎏급 에서는 최보성(성남시청)이 박현서(진천군청)를 상대로 금빛 발차기를 선보였다. 이날 열린 남일부 품새에서는 오민혁(경희대)이 16.160점을 받아 장운태(나사렛대·16.040점), 유현우(용인대·15.860;점)를 제치고 챔피언이 됐다. 도 태권도 선수단을 이끈 이영두 총감독(경기도태권도협회 사무국장)은 "그동안 많이 힘들었다. 매번 2등만 하다가 7년 만에 우승을 하니 감정이 올라온다"
'제106회 전국체육대회'에서 4년 연속 종합우승에 도전하는 경기도가 종합 1위로 뛰어 올랐다. 도는 19일 부산시 일원에서 진행 중인 대회 3일째 오후 6시 기준 종합점수 1만 4141점(금 68·은 51·동 79)를 얻어 순위 테이블 가장 높은 곳으로 도약했다. 2위는 '라이벌' 서울시(1만 3395점), 3위는 '개최지' 부산시(1만 287점)다. 도는 이날 11개 종목이 종료된 가운데 태권도, 택견 종목에서 패권을 차지했다. 도가 태권도에서 종목우승을 거둔 것은 2018년 제99회 대회 이후 7년 만이다. 택견에서는 2022년 이후 3년 만에 정상을 탈환했다. 도는 이날 금메달 23개를 추가로 확보했다. 부산보건대 체육관에서 벌어진 택견 남일부 모급(+83㎏급) 결승에서는 함수인(용인대)이 김성민(남원클럽)을 2-0으로 꺾고 우승했다. 여일부 윷·모급(+57㎏급) 박서진(용인대), 남자 18세 이하부 도·개·걸급(67㎏급) 노현도(경기도택견회)는 나란히 정상에 동행했다. 국립해양박물관 일원에서 진행된 철인3종 남자 18세 이하부 스프린트코스에서는 강우현, 권용진(이상 경기체고), 석영준(가평 설악고)으로 팀을 결성한 경기선발이 2시간55분23초를 마크
이도아(경희대)가 '제106회 전국체육대회' 태권도 여자대학부에서 금빛 발차기를 선보였다. 이도아는 16일 부산시 강서체육공원 실내체육관에서 사전경기로 열린 대회 태권도 여대부 62㎏급 결승에서 김지우(광주대)를 2-0으로 꺾었다. 8강에서 전북의 곽연수(우석대)를 2-0으로 제압한 이도아는 준결승에서도 경북의 김나림(동아대)을 2-0으로 물리치고 결승에 안착했다. 이도아는 김지우와 결승에서 1회전 시작 4초 만에 유효타를 얻어내며 기선제압에 성공했다. 이어 상대를 압박하며 가볍게 1회전을 따냈다. 주도권을 잡은 이도아는 2회전 초반 상대의 거센 반격에 고전했다. 그러나 중반부터 본인의 페이스를 찾아 안정적인 경기를 펼쳤고, 2-0으로 우승을 확정지었다. 이로써 이도아는 대학 입학 후 처음 출전한 전국체전에서 금메달을 목에 거는 기쁨을 누렸다. 여일부 73㎏급 준결승에서는 김효정(안산시청)이 송다빈(울산광역시체육회)에게 0-2로 패해 동메달에 만족했다. 이밖에 삼락생태공원축구장에서 진행된 럭비 일반부 8강에서는 경희대가 경남럭비OB를 44-0으로 대파하고 준결승에 올랐다. 한편 제106회 대회는 17일부터 23일까지 일주일 동안 부산시 일원에서 진행된다. 이
경기도가 '제106회 전국체육대회' 태권도에서 금메달 3개를 추가했다. 진호준(수원시청), 이상열(용인시청), 최보성(성남시청)은 15일 부산시 강서체육공원 실내체육관에서 열린 대회 사전경기 태권도 종목에서 나란히 시상대 정상에 올랐다. 지난해 제105회 대회에서 종목 2위에 머물렀던 도 태권도는 이날까지 우승자 5명을 배출하며 17개 시도 중 가장 많은 금메달을 확보했다. 남자일반부 68㎏급 결승에서는 진호준이 대구의 이기범(한국가스공사)을 2-0으로 제압하고 챔피언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이상열은 남일부 74㎏급 결승에서 김동영(부산 수영구청)을 2-0으로 누르고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남일부 80㎏급 결승에서는 최보성이 박현서(진천군청)를 상대로 금빛 발차기를 선보였다. 이밖에 남일부 58㎏급 결승에서는 김용환(김포시청)이 충북의 최원철(국군체육부대)에게 1-2로 아쉽게 패하며 은메달을 손에 넣었다. [ 경기신문 = 유창현 기자 ]
경기도가 '제106회 전국체육대회' 태권도 종목에서 금메달 2개를 손에 넣었다. 김우진, 오승주(이상 경희대)는 14일 부산 강서체육공원 실내체육관에서 사전경기로 열린 대회 태권도 종목에서 나란히 정상에 동행했다. 김우진은 남자대학부 87㎏급 결승에서 김현수(한국체대)를 2-0으로 제압하고 챔피언 타이틀을 얻었다. 여대부 73㎏급 결승에서는 오승주가 권슬아(동아대)에게 2-1 승리를 거둬 시상대 정상에 올랐다. 또, 남일부 87㎏급 결승에서는 이시원(성남시청)이 이상준(부산 수영군청)에게 0-2로 패하며 아쉽게 준우승했다. 추다인(안산시청)과 박서정(용인대)는 각각 여일부·여대부 46㎏급에서 2위에 입상했다. 이밖에 강서하키경기장에서 벌어진 하키 여자 18세 이하부 예선전에서는 수원 태장고가 서울 송곡여고에게 0-2로 패했다. 삼락생태공원축구장에서 열린 럭비 남자 18세 이하부 예선전에서는 부천북고가 서울 배재고에게 12-43 대패를 당했다. [ 경기신문 = 유창현 기자 ]
한국 장애인 국가대표 선수단이 제17회 파리 하계 패럴림픽에서 연일 메달 획득에 성공하며 종합 14위에 올랐다. 한국은 1일 프랑스 샤토루 슈팅센터에서 열린 대회 4일째 사격 R1 남자 10m 공기소총 입사(스포츠등급 SH1) 결선에서 박진호(강원 강릉시청)가 249.4점을 쏴 예르킨 가바소프(카자흐스탄·247.7점)를 제치고 우승을 차지했다. 박진호는 16번째 발까지 5위에 머물렀으나 이후 무서운 집중력으로 추격전에 나선 끝에 결국 금메달을 땄다. 세계랭킹 1위 박진호는 2016 리우데자네이루 대회에서 노메달에 그쳤지만 2020 도쿄 대회에서 은메달과 동메달을 획득했고 이번 대회에서 정상에 오르며 세번째 도전 만에 금빛총성을 울렸다. 또 사우스 파리 아레나에서 열린 탁구 남자복식(스포츠등급 MD4) 결승에서는 장영진(서울특별시청)-박성주(토요타코리아) 조가 피터 로바스-얀 리아포스 조(슬로바키아)에게 게임 점수 1-3(10-12, 11-7, 7-11, 8-11)으로 아쉽게 패해 은메달을 획득했다. 여자 복식(스포츠등급 WD10)에서는 문성혜(성남시청)-정영아(서울특별시청) 조와 강외정(경남장애인체육회)-이미규(경북장애인체육회) 조가 준결승에서 나란히 패해
2024 파리 올림픽에 출전한 대한민국 선수단이 12년 만에 단일 대회 메달 30개 고지를 밟았다. 한국은 10일 프랑스 파리 사우스 파리 아레나에서 열린 탁구 여자 단체전 동메달 결정전에서 신유빈, 이은혜(이상 대한항공), 전지희(미래에셋증권)가 팀을 이뤄 독일을 종합전적 3-0으로 완파하고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이로써 한국 탁구는 2008년 베이징 대회 동메달 이후 16년 만에 이 종목 메달을 획득했다. 혼합복식에서 임종훈(한국거래소)과 함께 동메달을 목에 걸었던 신유빈은 1922년 바르셀로나 대회 남자 단·복식 동메달을 획득한 김택수(대한탁구협회 부회장), 여자 단·복식 3위에 오른 현정화(한국마사회 감독) 이래 32년 만에 한국 탁구의 올림픽 멀티 메달리스트가 됐다. 한국은 1복식에서 '항저우 아시안게임 금메달 조' 신유빈-전지희 조가 '중국계 듀오' 완위안-산샤오나 조를 상대로 첫 두 게임을 11-6 11-8로 따내며 손쉽게 승리를 거두는 듯 했다. 그러나 3게임을 8-11로 내준 신유빈-전지희 조는 4게임에서도 듀스 접전 끝에 10-12로 패해 승부를 원점으로 돌렸다,. 동메달 획득을 위해서는 복식 승리가 절실했던 신유빈-전지희 조는 5게임에서
2024 파리 올림픽에 출전한 대한민국 선수단이 역대 최다 금메달 타이기록에 1개 차로 다가섰다. 한국은 8일 프랑스 파리 그랑팔레에서 열린 대회 태권도 남자 58㎏급 결승에서 박태준(경희대)이 가심 마고메도프(아제르바이잔)에게 부상 기권승을 거두고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한국은 박태준의 우승으로 이번 대회 12번째 금메달을 수확하며 역대 최다 금메달(13개)까지 1개 만을 남겨뒀다. 한국은 2008 베이징 대회와 2012 런던 대회에서 역대 단일 대회 최다 금메달인 13개를 수확한 바 있다. 이미 대한체육회가 제시한 목표인 금메달 5개를 훌쩍 넘긴 한국 선수단은 금메달 획득이 가능한 태권도, 근대5종, 비보이, 역도 등이 남아있어 역대 최다 금메달 획득 가능성이 높을 전망이다. 이 때문에 이번 대회에 하계 올림픽 48년 만에 최소 선수(144명)를 보낸 대한체육회가 지나치게 엄살을 부렸거나 전력분석을 잘못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날 태권도 남자 58㎏급에 출전한 박태준은 16강에서 요한드리 그라나도(베네주엘라)를 라운드 점수 2-0으로 완파한 뒤 8강에서 홈 관중의 일방적인 응원을 받은 카리안 라벳(프랑스)와 접전 끝에 2-1, 신승을 거두고
대한민국 태권도가 2024 파리 올림픽에서 8년 만에 금빛 발차기를 선보였다. 남자 선수로는 16년 만이다. ‘한국 태권도 남자 경량급 간판’ 박태준(경희대)은 8일 프랑스 파리 그랑팔레에서 열린 대회 태권도 남자 58㎏급 결승에서 가심 마고메도프(아제르바이잔)에게 부상 기권승을 거두고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이로써 박태준은 이 체급에서 우리나라 최초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로 기록됐다. 한국이 테권도 남자 58㎏급에서 거둔 역대 최고 성적은 ‘태권도 스타’ 이대훈 대전시청 코치가 2012 런던 올림픽에서 획득한 은메달이었다. 한국 태권도는 박태준의 금메달로 2021년 도쿄 대회에서 처음으로 ‘노골드’의 수모를 당한 이후 8년 만에 금메달리스트를 배출하며 종주국의 자존심을 세웠다. 한국 남자 태권도 선수가 금메달을 딴 것은 무려 16년 만이다. 한국 남자 태권도는 앞서 2008 베이징 대회 때 손태진(68㎏급)과 차동민(+80㎏급)이 금메달을 획득했었다. 박태준의 우승으로 한국 선수단은 이번 대회 금메달 갯수를 12개로 늘렸다. ‘스마일 점퍼’ 우상혁(용인특례시청)은 첫 올림픽 메달을 향한 도전을 순조롭게 시작했다. 우상혁은 육상 남자 높이뛰기 예선에서 2m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