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뮤지엄은 제13회 기획전 ‘타라탁탁- 열수의 꽃, 정약용의 아언각비’를 개최한다. 전시 제목의 ‘타라탁탁’은 스마트폰과 컴퓨터 타자 소리로, 현대 사회의 정보 생산과 소비를 상징한다. 언어의 올바른 사용을 강조한 정약용의 저서 ‘아언각비’와 견줘 올바른 정보 소비에 대한 인식을 전환한다. 전시는 한강 실외공원과 한강뮤지엄 실내전시실에서 동시에 진행되며 정현, 두민, 308 Art Crew, 한진수, 김홍식, 김태호 6명의 작가가 참여한다. 조각, 회화, 영상, 설치, 판화 등 다양한 현대미술로 정약용의 사상과 의미를 되돌아본다. 정약용은 어린 시절부터 한강을 바라보며 자연의 이치를 이해하고 인간 사회의 문제 해결 방안을 모색했다. 한강을 ‘열수’라고 칭한 정약용의 철학과 실천을 이해하고 ‘아언각비’를 통해 오늘날의 ‘미디어 리터러시’를 탐구한다. 지속가능한 발전, 자연과의 조화, 언어의 중요성을 배워 더 나은 사회를 만들어가는 정약용의 지혜를 되새겨보는 이번 전시는 11월 1일부터 내년 3월 9일까지 계속된다. [ 경기신문 = 고륜형 기자 ]
남양주는 다산 정약용의 고향으로 그 자취가 남아있는 곳이다. 정약용은 북한강과 남한강이 만나는 두물머리를 보고 ‘열수(洌水)’라고 지칭하기도 했고, 많은 문인과 학자들은 한강을 보고 풍경의 아름다움을 문학과 그림으로 남겼다. 남양주 소재 7개 공·사립 뮤지엄이 참여하는 연합전 ‘다산 정약용과 한강’이 9월부터 관객을 만난다. 실학박물관 개관 15주년을 맞이해 열리는 이번 연합전은 6년 전 남양주 소재 뮤지엄들이 한강문화벨트를 구축해 콘텐츠를 확충하고 활성화시키려는 목적으로 기획됐다. 실학박물관, 남양주시립박물관, 서호미술관, 한강뮤지엄, 모란미술관, 우석헌자연사박물관, 프라움악기박물관 등 7개 뮤지엄이 ‘다산 정약용과 한강’이란 주제로 각 뮤지엄 특색에 맞는 전시와 행사를 선보인다. 특히 오는 10월 11일 열리는 남양주 정약용문화제를 전후해 열리는 전시와 행사들은 다산 정약용과 한강을 심도 있게 바라보고 다채롭게 현대예술과 접목해보는 기회가 될 예정이다. 우선 실학박물관에선 오는 12월부터 내년 2월까지 특별전 ‘정약용과 한강, 두강(斗江)에서 만나다’를 개최한다. 남한강과 북한강이 만나는 두물머리에 위치한 실학박물관은 정약용의 유물인 ‘하피첩’과 ‘소천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