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01 (월)

  • 맑음동두천 21.9℃
  • 구름조금강릉 21.3℃
  • 맑음서울 22.4℃
  • 구름많음대전 22.1℃
  • 구름많음대구 24.6℃
  • 구름많음울산 23.7℃
  • 광주 23.1℃
  • 흐림부산 22.2℃
  • 구름많음고창 22.9℃
  • 제주 25.1℃
  • 맑음강화 21.3℃
  • 구름많음보은 21.7℃
  • 구름많음금산 22.3℃
  • 흐림강진군 23.3℃
  • 구름많음경주시 24.0℃
  • 흐림거제 22.0℃
기상청 제공

“단돈 100원도 버겁다” 라면 사재기 파동

국제곡물값 폭등… 농심, 20일부터 가격 인상
“미리 사놓겠다” 대형할인마트 소비자 북새통

밀가루와 설탕 등 국제곡물값 폭등이 결국 서민경제를 강타했다.

특히 서민경제와 밀접한 라면의 경우는 대형할인마트를 중심으로 극심한 ‘사재기 현상’도 빚어졌다.

지난 18일 국내 라면업체 1위인 농심이 신라면과 새우깡 등 주요 제품의 가격을 20일부터 인상하기로 하자 당일 경기지역 대형할인마트에는 인상되기 전 라면을 사기위한 소비자들로 북적거렸다.

18일 오후 10시 홈플러스 동수원점의 라면 코너에는 늦은 시간임에도 불구하고 라면을 구매하기 위한 소비자들로 발 디딜 틈이 없었다.

쇼핑 카트에 라면을 몇 박스씩 담아가는 소비자들도 손쉽게 볼 수 있었다.

수원시 정자동에 거주하는 김(56)모씨는 “라면값이 오른다는 얘기를 듣고 오르기 전에 미리 사놓기 위해 왔다”며 “100원 인상이라 해도 식구들이 라면을 자주 먹는만큼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그는 쇼핑 카트에 라면 박스 4개를 얹으며 “우선 가격인상을 발표한 농심라면을 중점적으로 구입했다”고 덧붙였다.

라면값 인상에 따라 라면 등이 주 메뉴인 분식점들도 줄줄이 라면값을 올렸다.

평택시에 위치한 한 분식점의 경우 2천500원이었던 라면값을 3천원으로 500원 인상했다. 이와함께 1천원짜리 김밥도 1천500원으로 올렸다.

분식점 주인인 이 모(48)씨는 “연초부터 가스값이 오르더니 이제 재료값도 하나 둘 오르기 시작했다”며 “음식을 팔아도 이것저것 제하고 나면 결국 남는 것도 없어 라면값을 올릴 수밖에 없었다”고 한숨을 쉬었다.

수원시 남문에 위치한 라면 전문점의 경우도 상황은 마찬가지였다.

이 곳에서 일하는 관계자는 “라면 체인점인만큼 라면을 본사로부터 공급받고 있다”며 “이미 지난달부터 인상된 라면가격으로 물건을 공급받아 왔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판매가격과 손님은 그대로인데 결국 재료값만 인상된 꼴”이라며 “결국 서민들만 힘들어졌다”고 덧붙였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