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검단∼장수간 자동차전용도로 민자 건설사업에 대한 사전환경성 검토서 주민공람에 들어가자 인천지역 환경단체가 사업 추진에 반대하고 나서 귀추가 주목된다.
25일 인천환경운동연합에 따르면 시는 지난 2월 포스코건설의 제안으로 총 5천724억원(시 지원 2천80억원)을 투입, 검단부터 장수까지 인천 남북을 잇는 도로 개설 사업을 추진해 왔다.
이 사업은 교량 17개, 터널 8개를 포함해 총 연장 20.7Km로 건설 후 30년간 민자 유료도로로 이용토록 하는 것으로 시가 지난 5월 한국개발연구원(KDI) 공공투자관리센터에 타당성 용역을 의뢰해 긍정적 결과가 나오자 사전환경성 검토서를 작성하고 공람 및 주민설명회를 통해 주민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이에 인천환경운동연합은 “이사업의 추진 근거가 공개되지 않은 KDI의 사업타당성 보고서의 긍정적 결과에 동의할 수 없다”며 “민자사업임에도 사업제안 건설사에 시가 지원하는 것은 특혜를 주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이 사업은 인천시 7개 도시자연공원에 치명적 피해를 일으키는 건설사업으로 남북 녹지축을 완전히 훼손하는 녹지축 포기공사이며, 터널과 교량건설로 산림을 완전히 파헤치는 반생태 공사”라고 지적했다.
더욱이 “시 ‘도로 다이어트’ 정책과는 배치되는 정책일 뿐 아니라 비교할 수 없는 3가지 도로건설계획 대안을 제시하며 대안설정의 취지를 무력화시키고 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다각적 검토와 정보 공유 및 논의 등 과정을 생략한 채 사업제안 불과 1년도 되지 않아 추진되는 졸속행정의 표본이며, 현 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에 정면으로 반하는 정책”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환경운동연합은 “시는 교통량 증가에 따른 교통체증 해소를 근거로 도로건설 계획을 추진한다지만 교통체증의 근본적인 방안은 대중교통활성화 및 자동차 이용 감소정책으로 추진돼야 하는 것으로 자연 훼손과 특혜성 시비가 있는 도로개설 사업 추진은 중단돼야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타당성검토 보고서에 대해 공개하고, 이를 통한 각계각층의 의견 수렴을 위한 공청회와 시민토론회 등을 개최할 것”을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