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9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6℃
  • 구름많음강릉 28.8℃
  • 구름많음서울 28.7℃
  • 구름많음대전 27.8℃
  • 흐림대구 26.5℃
  • 흐림울산 26.5℃
  • 흐림광주 24.2℃
  • 흐림부산 24.9℃
  • 흐림고창 24.6℃
  • 제주 23.5℃
  • 구름많음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7.0℃
  • 흐림금산 26.7℃
  • 흐림강진군 23.4℃
  • 구름많음경주시 28.5℃
  • 흐림거제 24.4℃
기상청 제공

안성 소규모학교 맞춤 프로그램 지원

“소규모 학교, 무조건적인 통·폐합이 아닌 특성화가 아이들의 재능도 살리고 지역 교육도 살리는 대안입니다.”

안성시 죽산면에 위치한 광선초등학교는 최근 타지역 학부모로부터 자녀를 전학시키겠다는 문의전화가 끊이지 않고 있다.

3년전 방과 후 교육활동으로 창단한 가야금연주단이 도 청소년예술제, 대한민국 가야금병창 대제전 등 전국규모 대회에서 잇따라 수상했기 때문.

가야금연주단은 전교생 53명에 불과한 광선초가 특성화 교육의 일환으로 진행한 프로그램 중 하나다.

이처럼 최근 소규모 학교의 통·폐합 우려 목소리가 높은 가운데 시가 특성화를 통한 소규모 학교 살리기에 나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9일 시에 따르면 시는 관내 소규모 학교 학생 개개인의 잠재력을 계발하고 각 학교의 장점을 살려 특성화 학교로 전환할 수 있는 ‘소규모 학교 특성화 프로그램’을 발굴, 추진 중이다.

시 관내 37개(분교포함) 초등학교 중 20개교가 100인 이하 소규모 학교이며, 교육과학기술부의 통·폐합 대상인 60인 이하 학교는 올해 현재 9개교다.

우선 시는 지난 2004년부터 관내 소규모 학교를 특성화교로 육성키 위해 광선초 가야금, 미곡초 골프, 현매초 단소 등 학교별 맞춤형 특성화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다.

대상학교도 당초 방초·원곡 2개 초교로 시작으로 올해 현재 서운·현매·마전·명덕 등 10개 초교로 확대했고, 학교별 프로그램 지원비는 매년 5~7천만원 선이다.

시 관계자는 “소규모 학교는 실험실습·독서교육 활동 등의 기회가 부족해 교육만족도가 낮고, 행정업무부담 등으로 방과후 강사 계약 기피현상이 생겨 교육기회 마저 축소된다”며 “학교별 실정에 맞는 특성화 교육은 교육기회 및 만족도를 높여 아이들의 재능과 소규모 학교를 살리는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교육과학기술부는 시·도교육청과 함께 오는 2016년까지 60명 이하 소규모 학교의 통·폐합을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에 반해 관련 지역주민과 단체 등은 농어촌 교육을 붕괴시키는 획일적인 통·폐합에 대해 반대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