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환경단체와 인천시의원, 구의원으로 구성된 ‘수도권매립지 기간연장반대 투쟁위원회’는 지난 14일, 대회의실에서 수도권매립 종료 명시화와 악취 방지 환경감시 강화 토론회를 개최했다.
구재용 시의원의 사회로 진행된 이날 행사에는 전년성 서구청장과 이학재 국회의원, 김교흥 전 국회의원, 환경부 폐자원에너지 팀장, 수도권매립지 오화수 단장 등 지역 주민 5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띤 토론을 벌였다.
1부 행사에서 전년성 서구청장은 “쓰레기매립지 피해가 조속히 해결 되기를 바란다”고 촉구했고, 김영옥 서구의회 의장은 “매립지 기한 종료는 당연히 지켜져야 하며 우리의 의견이 관철될 때 까지 끝까지 투쟁하겠다”고 강력히 의지를 밝혔다.
이날 참가자들은 “매립지 영구화 망언 당사자인 조춘구 사장은 즉각 퇴진하라, 서울 쓰레기는 서울로 환경부는 각성하라, 매립지 영구화 반대한다”며 피켓을 들고 규탄했다.
2부 토론회에 나선 이보영 인천환경운동연합 서구지회장은 “전 매립 과정을 공개하고, 그동안 비리 사건이 빈번했던 주민 감시를 이원화 체계로 실시하라”고 요구했다.
이에 대해 매립지 관계자는 “그동안 공사에서도 제도 개선화를 통해 노력해 왔다”면서 “관계기관과 유기적으로 해결하고 언제든 처리 과정을 공개하겠다”고 했다.
이어 이학재 국회의원은 “법적 강화의 필요성에 따라 법안 발의 중이며 서구청에 강력 징계 토대와 권한을 주어야 한다”면서 “근본적으로 2016년 매립지 종료가 최선책이다”고 주장했다.
뒤이어 김교흥 전 의원은 “인천이 사용하는 물은 서울시에 500억 원씩 지불하고 있는데 폐기물은 미미한 반입 수수료만 있을 뿐인데, 별도 분담금을 지불해야 하며, 환경부가 아닌 인천시가 관리 주체가 되어야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서구 전상주 부구청장은 “법치국가에서 음폐수 처리시설을 서구청의 허가 없이 설치하는 것이 말이 되느냐”며 수도권매립지공사측을 압박했다.
매립지 관계자는 “선별을 엄격히 하여 가연성 폐기물의 반입을 적극 제한 감시하고, 반경 2Km 이내 주민 감시 체제를 4Km 이내 주민 감시 체제로 이원화 하겠다 법에 준해 비리를 원천 차단 운용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