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장애인 집단 성폭행에 가담했던 학생이 이 사실을 숨긴 채 대학에 입학한 사실이 뒤늦게 드러나 학교 당국이 조사에 착수했다.
성균관대는 지난 17일 지난해 입학사정관제 리더십 전형을 통해 합격한 A씨가 지난 2010년에 지방 한 도시에서 한 달간 벌어진 정신지체 장애 여중생 집단 성폭행 사건 연루자 중 한 명으로 밝혀져 논란이 지속돼 조사중이라고 밝혔다.
김윤배 성균관대 입학처장은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현재 A씨의 법원 판결 결과를 공식 문의하기 위한 준비 단계”라며 “A씨의 집단 성폭력 가담 사실이 확인되면 입학을 취소하겠다”고 밝혔다.
김 처장은 ‘전형 당시 사실 확인절차를 거치지 않았느냐’는 질문에 “기본적으로 자기소개서, 학생부, 추천서는 고등학교와 입학을 주관하는 대학 간 신뢰에 바탕을 둔다”면서 “신뢰가 깨지면 처음부터 입학사정을 할 수가 없다”고 답했다.
당장 대학들은 심각해졌다. 대학 신입생 선발을 위한 입학사정관제에 ‘구멍’이 뚫렸다는 위기감과 함께 검증시스템의 부재를 인정하는 분위기다.
더욱이 수험생을 평가하는 주요 지표인 자기소개서에 표절이 난무하고, 교사추천서까지 거짓으로 작성되는 사례가 드러나 ‘다양한 전형요소를 반영한다’는 입학사정관제의 취지를 무색케 하고 있다는 논란속에 선량한 학생들만 피해를 본다는 지적도 나온다.
중앙대는 올해부터 면접을 보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범죄 사실 여부를 확인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올해부터 입학사정관 전형을 실시하고 있는 125개 대학은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의 ‘유사도검색시스템’을 활용해 ‘표절 자기소개서’를 골라내는 등 대책마련에 고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