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뱃값을 2천원 인상하고 담뱃갑 흡연경고 그림 등 비(非)가격정책을 동시에 시행하면 현재 45%에 이르는 흡연율(남성)을 2020년까지 20%대로 낮출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와 주목된다.
조성일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는 3일 ‘담배가격 정책과 흡연율 분석’ 논문에서 과거 실증 자료 등을 바탕으로 정부의 가격·비가격 금연 정책에 각각 효과 가중치를 두고 모의실험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논문에 따르면 비가격 정책없이 내년부터 담뱃값을 2천원 올리면 흡연율은 44.5%(2011년 기준)에서 2015년 39.4%를 거쳐 2020년 37.4%로 낮아질 것으로 예상됐다.
또 가격 인상폭을 3천원, 4천원, 5천원, 6천원으로 할 경우 2020년 흡연율은 각각 36.3%, 35.5%, 34.9%, 34.4%로 추정됐다.
반대로 내년부터 담뱃갑 포장 규제(흡연경고 그림, 문구 등), 직장·식당 금역 구역 설정, 청소년 접근 제한, 금연치료 등 비가격 금연 정책만 시행하면 시뮬레이션상 2020년 흡연율은 31.7%까지 떨어졌다.
그러나 내년부터 담뱃값을 2천원 올리고 비가격 금연 정책을 모두 사용하면 2020년 흡연율은 27%대까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 교수는 논문에서 “비가격 금연 정책을 최대한 강화한다 해도 최소 2천원이상 담배값을 올리지 않으면 20%대인 2020년 흡연율 목표는 매우 비현실적”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