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기온이 영하 6도까지 떨어지고 연이은 강추위와 폭설이 예고되면서 전력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지식경제부와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4일 오전 9시 이후 전력사용량이 급증, 10시30분 예비력 560만㎾ 예비율 7.79%에 머물러 전력수급 ‘관심’ 경보가 발령됐다.
지난 3일 ‘준비’ 발령에 이어 또 다시 경보가 발령되면서 순환정전을 포함한 ‘전력대란’ 발생에 대한 불안감도 높아지고 있다.
특히 폭설과 함께 연일 영하 10℃ 이하의 맹추위가 다음주까지 이어지는 등 한파가 기승을 부릴 것으로 예고되면서 전력당국은 긴장이 감도는 상태다.
겨울철 전력수요는 최저기온이 1℃떨어질 때마다 약 50만kW 증가, 기온이 2℃ 떨어질 때마다 원전 1기를 더 돌려야 할 것이라는 전력거래소의 분석이어서 이런 우려를 뒷받침하고 있다.
전력수급이 악화되면서 지경부는 4일 약 90만kW 선의 수요관리에 나서는 등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수요관리를 안할 경우 예비력이 400만kW까지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과 함께 올 겨울 예비전력은 순환정전에 돌입하는 200만kW 이하까지 내려갈 것이라는 전망이다.
하지만 정부가 사활을 건 동계 전력수급대책 추진에 대한 의문도 커지고 있다.
예년의 추위와 원전 재가동 등을 고려해 올해 계도기간을 거쳐 내년 1월부터 강력 단속에 나설 계획이었지만, 한파 급습 등으로 계획 자체가 어긋났다는 지적이 벌써부터 나온다.
더욱이 지난 여름 민간부문 단속이 사실상 큰 위력을 발휘하지 못해 이번 대책의 실효성에 의문마저 제기되면서 위기감이 증폭되고 있는 상태다.
실제 경기도는 지난 6월∼9월 하계 전력수급 비상시기에 도내 전기 다소비 건물 1만5천500여개를 점검해 1% 수준인 185곳의 위반사업장을 단속하는데 그쳤다.
이같은 상황이 반복되고 있지만 구체적인 대책 마련이 쉽지 않다는 것도 고민이다.
발전소 건설에 수년의 시간이 소요되는 만큼 막연한 수요억제에만 집중하고 있는 셈이어서 근본대책 마련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시민 이모(29)씨는 “매년 여름과 겨울이면 에너지가 부족하다며 국민의 희생을 강요하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며 “에너지대책에 참여하겠지만 강추위에 전기라도 끊길까 걱정”이라고 말했다.
도내 지자체의 한 관계자는 “한전 등과 합동으로 민간 단속을 실시, 매주 결과를 보고하도록 돼 있다”며 “전기 다소비 건물에 대한 정확한 리스트가 없고, 민간건물에 항시 상주·점검도 어려워 실효성에 의문”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