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경기도가 도내 개성공단 입주기업 지원대책으로 내놓은 특별 및 긴급 경영안정자금이 당초와는 달리 저조한 이용실적을 보이고 있다.
14일 경기도와 중소기업진흥공단에 따르면 이날 현재까지 도내 개성공단 입주기업 32개사 중 도가 마련한 특별경영안전자금을 이용한 업체는 1개사에 그치고 있다.
도는 지난 9일부터 도내 개성공단 입주기업에 대한 지원책으로 100억원의 특별경영안정자금을 확정하고 4%의 금리조건을 3%로 낮춰 대출 신청접수에 들어갔다.
그러나 접수 6일째를 맞은 현재 고양시에 본사를 둔 1개 업체만 지난 13일 대출을 신청, 경기신용보증재단이 대출 심사를 진행 중이다.
또 1천억원 규모의 정부 긴급경영안전자금 지원처인 중소기업진흥공단 경기지역본부(경기 남부)에도 현재까지 신청 실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긴급경영안전자금은 중소기업청에서 마련한 지원책이다.
이는 개성공단 입주기업 123개 중 12개 업체가 한국수출입은행으로부터 총 96억원 규모의 남북협력기금 특별협력자금 대출 신청을 접수한 것과 비교하면 도와 중기청이 내놓은 지원대책 효과가 미미한 셈이다.
이에 대해 도와 중진공 측은 개성공단 입주기업이 정부의 경영자금 지원을 우선 지원받고 추가로 도에 대출 신청을 하려는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정부가 지난 14일 3천억원 규모의 남북협력기금 경협보험금 지원을 포함한 2단계 대책을 확정하면서 입 기업들이 아직까지 관망세를 유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경기신보 관계자는 “올해 말까지 도의 지원 대책이 유효한 만큼 개성공단 기업들이 정부와 경기도의 대출 지원조건 등을 면밀히 검토하는 상황”이라며 “신청이 들어오면 최대한 신속히 자금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