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이 1일 지방선거 광역단체장 후보 경선방식을 마련함에 따라 경기도내 야당 경선 후보자들이 본격적인 ‘공천전쟁’에 돌입했다.
새정치연합은 전날 심야까지 진행된 최고위원회의에서 ‘여론조사 50%+배심원투표 50%’ 등 지역별 사정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3가지 공천방안을 마련했으며 이 같은 3가지 공천방안에 대한 세부 규정도 마련하게 된다.
하지만 공천 룰을 둘러싸고 옛 민주당과 안철수 공동대표 측이 이해관계가 맞서고 있어 최종 확정까지는 물론이고 세부규정을 놓고도 적잖은 진통이 예상된다.
이와 관련 경기지사 출마를 선언한 후보들의 입장이 각각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원혜영(부천 오정) 의원측은 개인 인지도나 인기를 측정하는 피상적인 여론조사는 지양돼야 하고, 후보자의 정책·인물·비전을 충분히 알 수 있는 심도 있는 조사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며, 여론조사보다 공론조사의 비중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공론조사도 후보자들의 조직 동원 우려가 있는 국민참여 경선보다는 제3의 여론조사기관에서 배심원을 공정하게 선정하는 식으로 진행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김진표(수원정) 의원측은 선거관리위원회에 맡겨서 경선을 치르고, 본선에서 이길 수 있는 후보를 뽑고, 매니페스토 토론으로 하는 ‘3대 원칙’이 지켜진다면 어떤 방식이든 수용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김 의원은 조직 동원력과 최근 여론조사 우위를 앞세워 소규모 배심원 투표보다는 여론조사 비중 확대나 대규모 배심원단 투표를 선호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김상곤 전 경기도교육감측은 일단 당원 투표가 빠졌다는 점에 안도하면서도 여론조사 비중이 50%나 된다는 사실에 신경을 쓰면서 당의 결정에 따른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각 후보측은 공천 룰이 최종 확정 때까지 세부규정에서 구체적인 배심원 선정과 투표 방식 등을 놓고 치열한 신경전을 펼칠 것으로 보인다.
/임춘원기자 lcw@